오늘의 주식 이슈

[12/21] 해외증시 마감시황

페이지 정보

이석현전략팀장  21-12-21 08:36 

본문

★미국 마감★
다우(-1.23%)/나스닥(-1.24%)/S&P500(-1.14%)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620.04(-0.34%)

니케이 지수 27,937.81엔(-2.13%)





★국제유가★


69.20 +0.03 (+0.04%)








★ 미국시황 ★

뉴욕증시는 코로나19 변이 오미크론 확산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조 바이든 대통령의 인프라 법안 무산 위기 등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큰 폭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23%, 1.14%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24% 하락.

오미크론 확산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 연일 악재로 작용. 지난 17일 2만1,027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해 하루 최다 확진자 기록을 세웠던 뉴욕주를 중심으로 미국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는 모습.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전일 기준 미국의 7일 평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하루 13만3,012건으로 2주 전 대비 21% 증가했음. 워싱턴 DC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도시 전체에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명령을 부활했으며, 빌 더블라지오 뉴욕시장은 오미크론 감염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음. 네덜란드는 이날부터 다시 전국적인 봉쇄에 들어갔고, 영국도 전면 봉쇄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프랑스는 전일부터 영국發 입국 규제를 강화했으며, 독일은 이날부터 영국에서 독일로 열차나 버스, 선박이나 여객기를 통한 승객 운송을 금지하기로 했음. 세계경제포럼(WEF)은 이날 연례 회의 '다보스 포럼'의 내년 1월 행사를 같은 해 초여름으로 연기한다고 밝힘.

★ 해외시황 ★

상해종합지수는 3,620.04(-0.34%)로 하락 출발. 장초반 상승세로 돌아서며 3,643.95(+0.32%)에서 고점을 형성하기도 했지만, 재차 하락세로 전환하는 모습. 이후 하락폭을 확대하던 지수는 장 마감 무렵 3,589.36(-1.18%)에서 저점을 형성한 끝에 3,593.60(-1.07%)에서 거래를 마감.

LPR(대출우대금리) 인하에도 경제 둔화 우려가 커진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2월 1년 만기 LPR이 전월의 3.85%보다 0.05%포인트 낮은 3.80%로 집계됐다고 발표. 시장에서는 인하폭 자체는 크지 않았지만 중국 정부의 경제 부양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는 한편, 경기가 안 좋다는 것을 알리기에 충분한 시그널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모습.
한편, 최근 중국은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대로 떨어진데 이어 4분기 성장률도 둔화할 것이란 전망이 커지고 있음. 블룸버그통신 등이 집계한 중국의 4분기 경제성장률은 3.1%(전년동기대비)로 예상되며, 지난 1분기 18.3%를 기록한 뒤 빠르게 내려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일본 니케이지수는 28,325.46엔(-0.77%)으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축소하며 28,441.51(-0.36%)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다시 낙폭을 확대한 뒤 38,360엔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임. 이후 재차 낙폭을 확대한 지수는 오후 장중 27,960엔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이다가 27,893.18엔(-2.29%)에서 저점을 형성한 끝에 27,937.81엔(-2.13%)에서 거래를 마감.

글로벌 오미크론 확산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급락요인으로 작용.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현지시간으로 19일 코로나19 새 변이인 오미크론 확산으로 미국이 힘든 겨울을 맞이할 것이라고 경고했음. 또한,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는 현지시간으로 19일 기자회견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 폐쇄, 학교 휴교 등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엄격한 제한 조치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으며, 영국 정부도 네덜란드처럼 행동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짐. 독일과 프랑스도 일부 국가 관광객에 대한 입국을 제한하는 등 방역 대책을 발표했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실시간댓글 확인을 위해 새로고침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