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식 이슈

3/16 해외증시 마감시황

페이지 정보

이석현전략팀장  22-03-16 08:17 

본문

★미국 마감★


다우(+1.82%)/나스닥(+2.92%)/S&P500(+2.14%)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063.97(-4.95%)


니케이 지수  25,346.48엔(+0.15%)


★국제유가★



95.56 -0.88 (-0.91%)



★ 미국 및 해외시황 ★



 유가 급락 속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FOMC 주시

이날 뉴욕증시는 국제유가가 급락세를 보이며 배럴당 100달러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인플레이션 우려가 일부 완화되며 3대 지수 모두 급등.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82%, 2.14% 급등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2.92% 급등.

이날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선 아래로 밀려난 가운데 투자 심리가 살아나는 모습.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6.4% 급락한 배럴당 96.44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음. 장중에는 배럴당 93.53달러까지 밀려나기도 함. 종가기준 WTI가 배럴당 100달러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달 28일 이후 처음으로, 일주일 전인 지난 8일 종가(123.70달러) 대비 22% 이상 폭락했음. 아울러 영국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5월물 브렌트유 가격도 이날 장중 97.44달러까지 급락하기도 하는 등 종가기준 99.91달러로 마감했음. 이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일부 완화되면서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시장에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협상 기대감과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으로 인한 성장 우려, 코로나19 재확산 속 中 도시 봉쇄 조치 등에 따른 수요 감소 전망 등이 유가에 하락 압력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상해종합지수는 3,192.36(-0.97%)으로 하락 출발. 장 초반 낙폭을 확대하며 3,130선을 하회한 지수는 이내 낙폭을 만회하며 3,196.92(-0.83%)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재차 하락으로 방향을 전환한 지수는 낙폭을 큰 폭으로 확대하며 장중 저점인 3,063.97(-4.95%)에서 거래를 마감.

中 추가 락다운 우려가 커진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폭락요인으로 작용. 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15일 0시 기준 전국 31개 성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602명 발생했다며 이중 3,507명이 본토 확진자라고 밝힘. 또한, 이날 무증상자는 1,768명이며 1,647명은 본토에서, 나머지는 해외 역유입이라고 밝히면서 국제 기준으로는 신규 확진자는 사실상 5,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짐. 이에 시장에서는 중국이 추가로 락다운할 것을 우려하는 모습. 한편, 15일 기준으로 선전을 포함해 중국 내 11개 도시가 봉쇄된 것으로 알려짐.

中 기술주의 미국 증시 강제 퇴출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도 증시에 하방압력을 가함. 美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20년 말 도입한 외국회사문책법을 근거로 지난주 미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5곳을 '예비 상장폐지 명단'에 올린 바 있음. 이에 美 증시에 상장된 中 기술주들의 폭락세가 지속되고 있음.



니케이지수는 25,228.53엔(-0.31%)으로 소폭 하락 출발. 장초반 25,219.13엔(-0.35%)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이는 모습. 오전장 후반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오후들어 25,441.67엔(+0.53%)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축소해나간 끝에 25,346.48엔(+0.15%)에서 거래를 마감.

국제유가가 하락한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 지난밤 러-우크라 회담 진행 및 中 봉쇄 소식 등에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은 장중 한때 100달러가 붕괴되기도 했으며, 결국 전거래일보다 6.32달러(-5.78%) 하락한 103.01달러에 거래를 마감. 5월 인도분 브렌트유 가격도 5.12% 하락한 106.90달러에서 거래를 마감. 이와 관련, 언론에 따르면, 전일(현지시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4차 평화회담이 시작됐으며, 회담은 2시간가량 진행된 뒤 금일(현지시간) 재개하기로 하고 협상은 종료된 것으로 알려짐. 또한, 중국 선전시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전면 봉쇄되고 필수 업종을 제외한 모든 기업의 생산 활동을 중지하도록 조치한 것으로 전해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실시간댓글 확인을 위해 새로고침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