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해외증시 마감시황
페이지 정보
이석현전략팀장 23-04-05 07:44본문
★미국 마감★
다우(-0.59%)/나스닥(-0.52%)/S&P500(-0.58%)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312.56(+0.49%)
니케이 지수 28,287.42엔(+0.35%)
★국제 유가★
80.96
-0.06
(-0.07%)
★ 미국 및 해외시황 ★
美 경제지표 부진 속 경기 침체 우려 부각(-)
이날 뉴욕증시는 유가 급등에 따른 충격이 이어진 가운데, 주요 경제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59%, 0.58%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52% 하락.
유가 급등에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주요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음. 이날 공개된 2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구인건수가 전월대비 63만건 감소한 990만건을 기록했음. 이는 시장 예상치(1,040만건)를 하회하는 수치로, 2021년 5월 이후 약 2년 만에 1,000만건 아래로 떨어졌음. 美 상무부가 발표한 2월 공장재 수주도 전월대비 0.7% 감소하면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감소폭을 기록.
상해종합지수는 3,297.18(+0.02%)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하락전환 후 3,290.99(-0.16%)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상승전환 후 상승폭을 확대하며 3,305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임. 이후 보합권까지 상승폭을 반납한 지수는 재차 상승폭을 확대하며 장중 고점인 3,312.56(+0.49%)에서 거래를 마감.
中 부동산 시장 회복 기대감이 커진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전일 시장정보업체인 중국부동산정보(CRIC)에 따르면, 중국 100대 부동산개발업체의 지난 3월 신규 주택 판매액은 6,608억6,000만 위안(약 126조2,000억원)으로 집계된 것으로 전해짐.
니케이지수는 28,213.93엔(+0.09%)으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28,139.12엔(-0.17%)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상승으로 방향을 잡는 모습. 이후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장중 고점인 28,287.42엔(+0.35%)에서 거래를 마감.
일본 니케이지수는 에너지주 강세 영향 등에 상승하는 모습. 현지시간으로 2일 OPEC+ 산유국들이 시장 안정을 위해 5월부터 총 116만 배럴을 감산하기로 발표한 가운데, 도쿄가스(+0.96%), 오사카가스(+1.23%), 인펙스홀딩스(+1.29%) 등 에너지 관련주가 상승하며 니케이지수의 상승세를 이끌었음
다우(-0.59%)/나스닥(-0.52%)/S&P500(-0.58%)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312.56(+0.49%)
니케이 지수 28,287.42엔(+0.35%)
★국제 유가★
80.96
-0.06
(-0.07%)
★ 미국 및 해외시황 ★
美 경제지표 부진 속 경기 침체 우려 부각(-)
이날 뉴욕증시는 유가 급등에 따른 충격이 이어진 가운데, 주요 경제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59%, 0.58%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52% 하락.
유가 급등에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주요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음. 이날 공개된 2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구인건수가 전월대비 63만건 감소한 990만건을 기록했음. 이는 시장 예상치(1,040만건)를 하회하는 수치로, 2021년 5월 이후 약 2년 만에 1,000만건 아래로 떨어졌음. 美 상무부가 발표한 2월 공장재 수주도 전월대비 0.7% 감소하면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감소폭을 기록.
상해종합지수는 3,297.18(+0.02%)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하락전환 후 3,290.99(-0.16%)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상승전환 후 상승폭을 확대하며 3,305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임. 이후 보합권까지 상승폭을 반납한 지수는 재차 상승폭을 확대하며 장중 고점인 3,312.56(+0.49%)에서 거래를 마감.
中 부동산 시장 회복 기대감이 커진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전일 시장정보업체인 중국부동산정보(CRIC)에 따르면, 중국 100대 부동산개발업체의 지난 3월 신규 주택 판매액은 6,608억6,000만 위안(약 126조2,000억원)으로 집계된 것으로 전해짐.
니케이지수는 28,213.93엔(+0.09%)으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28,139.12엔(-0.17%)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상승으로 방향을 잡는 모습. 이후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장중 고점인 28,287.42엔(+0.35%)에서 거래를 마감.
일본 니케이지수는 에너지주 강세 영향 등에 상승하는 모습. 현지시간으로 2일 OPEC+ 산유국들이 시장 안정을 위해 5월부터 총 116만 배럴을 감산하기로 발표한 가운데, 도쿄가스(+0.96%), 오사카가스(+1.23%), 인펙스홀딩스(+1.29%) 등 에너지 관련주가 상승하며 니케이지수의 상승세를 이끌었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실시간댓글 확인을 위해 새로고침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