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식 이슈

4/14 해외시장 마감시황

페이지 정보

이석현전략팀장  22-04-14 07:46 

본문

★미국 마감★


다우(+1.01%)/나스닥(+2.03%)/S&P500(+1.12%)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186.82(-0.82%)


니케이 지수  26,843.49엔(+1.93%)


★국제유가★



103.78 -0.44(-0.42%)



★ 미국 및 해외시황 ★


 기업 실적 개선 기대감(+), 인플레이션 정점 통과 기대감(+)

이날 뉴욕증시는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 폭등 속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통과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진 데다 1분기 기업들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01%, 1.12%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03% 급등.

본격적인 1분기 실적 시즌이 시작된 가운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증시에 호재로 작용. 팩트셋에 따르면, S&P500지수에 상장된 기업들의 1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4.5% 증가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날 델타항공, 블랙록, 패스널 등 대부분 기업들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특히, 델타항공은 1분기 주당 순손실 1.23달러를 기록했지만 시장 예상보다는 개선된 모습을 나타냈으며, 2분기에는 항공 예약 급증으로 흑자로 돌아설 것이라고 밝히면서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다만, 은행 중 가장 먼저 실적을 발표한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은 분기 순이익이 40% 이상 감소했다는 소식에 하락세를 기록.



상해종합지수는 3,199.80(-0.42%)으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하락폭을 키워 3,183.53(-0.93%)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낙폭을 축소했음. 오후장 상승전환에 성공하며 3,225.47(+0.38%)에서 고점을 형성하기도 했으나 이내 하락전환했고 장 마감까지 낙폭을 키운 끝에 3,186.82(-0.82%)에서 거래를 마감.

이날 발표된 수출입 지표가 부진한 점 등이 이날 중국증시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中 해관총서는 3월 수출액이 달러화 기준 2,760억8,0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14.7% 증가했다고 발표. 이는 1~2월 증가세보다 둔화된 수치로 2020년 10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임. 아울러, 3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0.1% 감소해 시장 전망치를 크게 하회했으며 중국의 월간 수입이 감소한 것은 2020년 8월 이후 최초임.

상하이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는 점도 중국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최근 상하이 일부 지역의 봉쇄가 제한적으로 완화되기도 했지만 상하이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상하이 주변 지역에 대한 코로나19 감염 확산 우려도 제기되는 모습. 상하이 인근 도시인 쑤저우시는 지난 한달 간 395명의 감염자가 발생했으며 이중 75%는 상하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상하이 인근 도시에는 전자업계 제조시설이 밀집되어 있어 생산 차질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었음.



니케이지수는 26,436.06엔(+0.38%)에서 소폭 상승 출발. 장초반 26,429.47엔(+0.36%)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오전 장중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서도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26,885.87엔(+2.09%)에서 고점을 형성한 끝에 26,843.49엔(+1.93%)에서 거래를 마감.

美 3월 소비자물가지수 불확실성이 해소된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 전일(현지시간) 美 노동부는 3월 CPI가 전년동월대비 8.5% 상승했다고 발표. 이는 1981년 2월 이후 약 40년여 만에 최고 수준으로, 시장 예상치인 8.4% 상승을 소폭 상회. 전월대비 기준으로도 1.2% 상승해 시장 예상치 1.1% 상승을 웃돌면서 2005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동월대비 6.5%, 전월대비 0.3% 각각 상승했음. 전년동월 기준으로는 시장 예상치 6.5%에 부합했지만, 전월대비로는 시장 예상치 0.5%를 소폭 하회. 이에 시장에서는 근원 CPI 상승률이 6개월 만에 가장 작은 폭으로 상승하면서 사실상 미국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는 모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실시간댓글 확인을 위해 새로고침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