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식 이슈

4/22 해외시장 마감시황

페이지 정보

이석현전략팀장  22-04-22 07:42 

본문

★미국 마감★


다우(-1.05%)/나스닥(-2.07%)/S&P500(-1.48%)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079.81(-2.26%)


니케이 지수  27,553.06엔(+1.23%)


★국제유가★


103.69 -0.36(-0.35%)


★ 미국 및 해외시황 ★


파월 Fed 의장 5월 빅스텝 가능성 시사(-), 기업 실적 호조(+)

이날 뉴욕증시는 장초반 기업 실적 호조 등에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5월 빅스텝 금리 인상을 시사한 영향으로 하락세로 돌아서며 3대 지수 모두 큰 폭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05%, 1.48%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07% 급락.

파월 Fed 의장이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빅스텝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파월 의장은 이날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최한 패널 토론에서 "금리 인상을 위해 약간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5월 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에 대해 논의될 것”이라고 언급했음. 아울러 현재 인플레이션이 Fed 목표치인 2%의 3배 가까운 수준임을 지적하면서 좀 더 신속한 긴축의 당위성을 강조했음. 이에 10년물 국채금리가 장중 2.95%까지 오르는 등 美 국채금리가 재차 상승세를 보이면서 주요 기술주들에 부담으로 작용.



상해종합지수는 3,138.43(-0.40%)으로 소폭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줄이며 상승전환 뒤 3,160.90(+0.31%)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하락전환 뒤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낙폭을 일부 만회했으나 재차 하락세를 보이며 장막판 3,069.68(-2.58%)에서 저점을 형성한 끝에 3,079.81(-2.26%)에서 거래를 마감.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中 코로나19 봉쇄 장기화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 등에 하락 마감했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중국 내 주요 도시 봉쇄 조치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금일 개최된 보아오포럼에서 "중국의 경기둔화가 계속 이어지면 세계에 큰 파급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음.

아울러 중국의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약화된 점도 증시에 하방압력을 가함. 전일 중국 인민은행은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전월과 같은 3.7%로 동결했음. 이는 3개월 연속 동결이며,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5년 만기 LPR도 전월과 같은 4.6%로 집계됐음.



니케이지수는 27,259.14엔(+0.15%)에서 강보합 출발. 장초반 27,252.83엔(+0.13%)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오전 장중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 상승폭을 일부 축소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내 상승폭을 확대하며 27,580.64엔(+1.33%)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27,553.06엔(+1.23%)에서 거래를 마감.

美 국채 금리 하락 및 나스닥 지수 선물이 상승한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지난밤 뉴욕채권시장은 美 10년물 국채 금리가 약 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숨고르기 장세 속 강세 마감했음. 아울러 테슬라가 호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美 나스닥 지수 선물이 상승하면서 시장에서는 투심이 개선되며 성장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 테슬라는 전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을 발표. 테슬라의 1분기 매출은 187억6,000만 달러(23조1,600억원)를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81%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인 178억 달러를 상회했음. 같은 기간 순이익은 33억2,000만 달러(4조1,000억원)로 전년동기대비 7배 넘게 증가했으며, 주당순이익은 시장 예상치(2.26달러)를 뛰어넘는 3.22달러를 기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실시간댓글 확인을 위해 새로고침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