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식 이슈 목록
27
2022.04
|
-
4/27 금일증시 주요일정
- 1. 인수위, 尹 정부 방역대책 발표 예정
2. 기업심사위원회, 오스템임플란트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예정
3. 현대중공업 노조 파업 예정
4.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5. 2월 인구동향
6. 4월 소비자동향조사
7. LG에너지솔루션 의무보유확약 해제
8. 태웅 거래재개(상장유지 결정)
9. SK하이닉스 실적발표 예정
10. LG화학 실적발표 예정
11. LIG넥스원 실적발표 예정
12. 두산퓨얼셀 실적발표 예정
13. 두산밥캣 실적발표 예정
14. 자이에스앤디 실적발표 예정
15. LG에너지솔루션 실적발표 예정
16. SK아이이테크놀로지 실적발표 예정
17.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발표 예정
18. 롯데정밀화학 실적발표 예정
19. S-Oil 실적발표 예정
20. GS건설 실적발표 예정
21. LG디스플레이 실적발표 예정
22. LG이노텍 실적발표 예정
23. 삼성전기 실적발표 예정
24. 삼성물산 실적발표 예정
25. 현대일렉트릭 실적발표 예정
26.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실적발표 예정
27. 사람인에이치알 실적발표 예정
28. 동아에스티 실적발표 예정
29. 신한스팩9호 신규상장 예정
30. 씨케이에이치 추가상장(CB전환)
31. 노블엠앤비 추가상장(CB전환)
32. 도이치모터스 추가상장(CB전환)
33. 롯데관광개발 추가상장(CB전환)
34. 광무 추가상장(CB전환)
- 2022.04.27
|
Read More
|
27
2022.04
|
-
4/27 해외증시 마감시황
- ★미국 마감★
다우(-2.38%)/나스닥(-3.95%)/S&P500(-2.81%)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2,886.43(-1.44%)
니케이 지수 26,700.11엔(+0.41%)
★국제유가★
102.02 +0.20(+0.20%)
★ 미국 및 해외시황 ★
기업 실적 경계감(-), 경기 둔화 우려(-)
이날 뉴욕증시는 대형 기술주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경계 심리가 커진 가운데,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급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2.38%, 2.81% 급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95% 급락.
이날 장 마감 후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등 대형 기술주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경계 심리가 커지는 모습.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은 정규장에서 3% 넘게 하락했으며, 애플, 아마존, 메타, 인텔, 트위터 등도 실적 발표를 앞두고 하락. 메타는 27일, 애플, 아마존, 인텔, 트위터 등은 28일 실적을 발표할 예정.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 전망 속 中 코로나19 봉쇄 우려가 커지면서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점도 악재로 작용. Fed가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경우 경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美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2.72%까지 하락했음.
상해종합지수는 2,930.45(+0.07%)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오전 장중 상승으로 방향을 잡은 뒤 오후 들어 2,957.68(+1.00%)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축소하다 하락전환했고, 낙폭을 확대하며 장막판 2,878.26(-1.72%)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2,886.43(-1.44%)에서 거래를 마감.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락다운 우려 등에 하락하는 모습. 언론에 따르면, 중국 수도 베이징이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해 전 주민 핵산(PCR) 검사 구역을 전체 인구의 약 90%가 거주하는 11개 구로 확대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26∼30일 둥청구, 시청구, 하이뎬구, 펑타이구 등 주요 거주 지역 11개 구 전 주민을 대상으로 3차례 핵산 검사할 것으로 전해짐. 금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전날 베이징의 일일 신규 감염자 수는 33명(무증상 감염자 1명)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봉쇄가 지속되고 있는 경제도시 상하이시에서도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코로나 전수 검사를 실시할 것으로 알려짐.
니케이지수는 26,743.21엔(+0.57%)에서 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축소한 지수는 26,592.99엔(+0.01%)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오전 장중에서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서도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26,808.99엔(+0.82%)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에 상승폭을 축소하며 26,700.11엔(+0.41%)에서 거래를 마감.
美 증시 상승 속 저가매수세가 유입된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 지난밤 뉴욕증시는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우려 등에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美 국채금리가 급락한 가운데 주요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 이에 시장에서는 최근 2거래일 동안 큰 폭으로 하락한데 따른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도 긍정적인 모습. 일본 총무성은 3월 실업률(계절조정치)이 2.6%를 기록했다고 발표. 이는 2월 수치와 시장예상치인 2.7%보다 0.1%포인트 낮은 수준임.
- 2022.04.27
|
Read More
|
26
2022.04
|
-
4/26 금일 HOT이슈 예상종목
- ● "더 오르기 전 식용유 8통 주문"…사재기 속출
-> 예상 수혜주 : 한일사료 현대사료 샘표 사조대림 등
- 2022.04.26
|
Read More
|
26
2022.04
|
-
4/26 개장전 주요이슈점검
- ● 뉴욕증시, 4/25(현지시간) 국채금리 급락 속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 다우 +238.06(+0.70%) 34,049.46, 나스닥 +165.56(+1.29%) 13,004.85, S&P500 4,296.12(+0.57%), 필라델피아반도체 3,042.39(+1.76%)
● 국제유가($,배럴), 中 코로나 봉쇄 강화 등에 급락... WTI -3.53(-3.46%) 98.54, 브렌트유 -4.33(-4.06%) 102.32
● 국제 금($,온스), 연준의 긴축 우려 지속 등에 약세... Gold -38.30(-1.98%) 1,896.00
● 달러 index, 안전자산 선호심리 속 상승... +0.52(+0.51%) 101.74
● 역외환율(원/달러), +2.17(+0.17%) 1,250.20
● 유럽증시, 영국(-1.88%), 독일(-1.54%), 프랑스(-2.01%)
● 美 3월 시카고 연은 전미활동지수 0.44…전월보다 부진
● 미 4월 댈러스 연은 제조업지수 1.1…월가 예상 하회
● 골드만 "연준 긴축, 주식 투자자들에게 좋지 않은 결과 초래"
● 엘-에리언 "시장, 전면적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반영"
● WSJ "월가, 글로벌 위험 회피에 현금비중 높아져"
● 달러화, 안전 선호에 혼조…달러 인덱스는 2년래 최고치 경신
● 월가 전문가 "금융시장, ECB 금리인상 너무 공격적으로 예상"
● 캐나다중앙銀 총재 "6월에도 50bp 금리인상 고려할 수 있어"
● 싱가포르은행 "中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 달성 난망"
● 中 인민은행, 외화 지준율 1%포인트 인하
● 성장률 위기 中 '보조금'도 풀까? 인민은행 위원 "2분기에는…"
● 트위터, 결국 머스크가 55조원에 인수...주당 54.2달러 현금지급
● 위험 회피 속 도지코인 나홀로 상승…머스크 트위터 인수 기대 효과
● 코카콜라 1분기 순익·매출 예상치 상회
● 골드만, 미 통신사 버라이존 투자의견 하향
● 월가, 빅테크 실적 앞두고 긍정 투자의견 유지
● 레이몬드 제임스, AMD에 '강력 매수' 의견 제시
● 배런스 "알리바바, 베이징 봉쇄 우려에 약세… 6년 만에 최저"
● 獨 4월 IFO 기업환경지수 91.8…시장예상 상회
● 오후 9시까지 전국 7만5944명 확진…어제보다 2.3배↑
● "출근길 우산 챙기세요"…오후엔 대부분 맑음
[기업/산업]
● 현대차 1분기 영업익 1.9조…판매 감소에도 매출·영업이익 모두 늘었다
● 현대차 "러시아 수요 30% 하락…반도체 공급난·원자재가 상승 악재"
● 기아 1분기 영업익 1조6천65억·49.2%↑…분기 최대 '어닝서프라이즈'
● 기아 "원자재값 상승 압박, 가격 인상·환율 효과로 상쇄"
● 포스코홀딩스 첫 성적, 영업익 2.3조
● 靑, MB-이재용 내달 8일 석탄일 사면 검토
● "삼성 투자 못하면 한국경제 식는다"…이재용, 文특사 포함 주목
● 신사업 절박한 롯데…辛회장 사면땐 해외사업 탄력
● '임단협 난항' 현대重 노조, 결국 파업 수순…27일부터 돌입
● '축구장 25개' 세계 최대 반도체 공장… 삼성전자 P3, 하반기 완공된다
● 현대차·칼라일, 글로비스 가치 띄우기 나섰다
● 공정위, 카카오모빌리티 '콜 몰아주기' 제재 착수
● '국산 1호' 백신 상반기 중 출시…먹는 치료제도 연내 국내 생산
● 윤석열 "백신에 경제·안보 다 담겨…기업 아낌없이 지원하겠다"
● 쫓겨났던 아워홈 장남 "이사 48명 선임" 주총 소집
● "車 제조사들, 자율주행 시대엔 구독기능서 더 큰 수익"
● LG화학, 배터리 폭발 막는 소재 개발
● LG전자 자회사 ZKW, 英 레인지로버에 LED 헤드라이트 공급
● 두산에너빌리티, 美 SMR 시장 뚫는다
● "27년 완전자율주행...25년 도심항공교통 상용화"
● '리오프닝' 기대감에 백화점·아웃렛 매출 살아났다
● 포켓몬빵 이어 '포켓몬폰'도 완판
[경제/증시/부동산]
● 이창용 "지금은 물가가 더 우려스러워…장기적으론 비둘기 소망"
● 무디스 "우크라 전쟁 여파 심각한 수준…신용 리스크 확대될 것"
● 한국 5월 금리인상 여부…최대변수는 '미국 빅스텝'
● 한은 "미 연준 조기 양적긴축, 내달 확정ㆍ발표 확실시"
● 3월 주식 발행 전월比 32%↓…금리 상승에 일반 회사채 발행 66%↓
● 전경련 "5월 경기전망, 2개월 연속 부진…제조업 19개월 만에 최저"
● 더 세진 美 긴축 공포…환율·증시 '패닉'
● 베이징 봉쇄공포에…원화값 1249.9원, 2년만에 최저
● 회사채 시장 '팬데믹급 쇼크'
● 코스피도 2700선 재붕괴…증권가 "6월까지 요동칠듯"
● 갈곳 잃은 돈 1700兆, 시한폭탄 되나
● 공매도 전면재개 '째깍째깍'... 솟구치는 개미 분노
● IMF "한국 추경 편성…물가·금리 영향 고려를"
● 세계국채지수 편입 추진…이르면 내년 9월에 윤곽
● "DSR 규제 피해라"… 대출 만기 늘리는 은행들
● "1기 신도시 재건축 중장기 과제로"…안전진단 면제 사실상 철회
● "뒤통수 맞은 기분"…분당·일산 집주인들 '부글부글'
● 지방선거 與野 후보들은 "재건축 규제 완화"
● 임대차 3법 폐지도 '개선'으로 가닥
● 집값도 못잡고…작년 주택보유세 57% 늘었다
● 2000가구 넘는 새 아파트에 노인요양원 추진 '논란'
● 공사중단 10일 넘은 둔촌주공…서울시 중재로 '해법' 찾을까
● 집값 상승세 주도하는 대단지 아파트..4월 0.39% 올랐다
●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8년 2개월만에 최저
● "재건축 규제 완화 기다리느니…리모델링으로 갈게요"
● 34점도 서울 청약 당첨…고분양가에 당첨가점 '뚝'
● 내달 전국 2만5천여 가구 입주…전월세 숨통
[정치/사회/국내 기타]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내달 10일 용산청사 5층서 집무 시작
● 인수위 "尹 취임식 직후, 내달 10일 靑 개방…하루 3만9000명 입장 가능"
● 추경호 부총리 후보자 "법인세 인하 추진…기업 규제도 풀겠다"
● 경제계, 이재용·신동빈 사면 건의…문 대통령 "국민 공감대가 판단 기준"
● 과학기술 전면에 내건 安…"소형원전·항공우주 미래먹거리로"
● 尹 "기업·외국인 투자환경 개선"
● 尹인수위, 종편 재승인 기간 '최대 5년→7년' 늘린다
● 빅3+항공우주·에너지·디스플레이·콘텐츠…尹정부 '7대 초격차' 키운다
● 국힘 "검수완박 재협상"…민주 "합의안 즉시 처리"
● 김오수 "중재안의 '중'자도 들은 적 없다"
● 文 "한동훈 검수완박 저지 발언, 위험한 표현"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쿼드 초청받으면 긍정 검토"
● 민주 경기지사 후보에 김동연…국민의힘 김은혜와 맞붙는다
● 지방선거用?…인수위, 지방교부세율 인상 검토
● 대접 확 달라진 일본…尹정책협의단에 만찬까지 '대접'
● 文대통령 "韓 5년간 훌쩍 성장…균형발전 노력 필요"
● 북, 심야열병식 진행… 오늘 녹화중계할듯
● "더 오르기 전 식용유 8통 주문"…사재기 속출
● 명동, 드디어 부활하나…사라졌던 노점상이 돌아왔다
● 반려동물 굶겨 죽이면 감옥간다…최대 징역 3년
● 서울 시내버스 파업 피했다…노사 임금협상 극적 타결
● 요소수 대란·리튬 폭등 수수방관…적폐 몰린 자원개발 '잃어버린 10년'
● 車·조선·석유 전통산업의 메카 울산에 신에너지 '수소' 꿈 영근다
[국제/해외]
● 베이징도 '봉쇄 공포'…350만 차오양구 일부 통제
● 중국 증시 '피의 월요일'…상하이종합지수 3000선 붕괴
● Fed가 원하는 '중립금리'…年 3.5% 달할 가능성
● "親EU 마크롱, 극우 르펜 이겼다"…유로화 강세
● 마크롱, 20년만에 연임 성공했지만…상처 난 리더십 가시밭길
● 우크라이나 접경 러시아 州 유류고 2곳 폭발… 조사 착수
● 대기업 0.03%뿐…日, 어떤 대책도 속수무책 '꼴찌 추락'
● 트위터의 변심?…머스크 인수 수용할듯
● 푸틴, 협상 대신 영토확장 총력…美, 우크라에 4천억원 현금 지원
- 2022.04.26
|
Read More
|
26
2022.04
|
-
4/26 금일증시 주요일정
- 1. 골드앤에스 거래재개(상장유지 결정)
2. 美) 3월 신규주택매매(현지시간)
3. 美) 마이크로소프트(MS) 실적발표(현지시간)
4. 美) 알파벳(구글) 실적발표(현지시간)
5. 美)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실적발표(현지시간)
6.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7. 美-동맹국, 우크라 관련 국방장관회의 개최 예정(현지시간)
8. 거래소, KOFR(한국무위험지표금리)·미국ETF산업STOXX ETF 상장 예정
9. 콘텐츠 산업포럼 온라인 개최 예정
10. SK텔레콤, 양자보안 단말기 "갤럭시 퀀텀3" 정식 출시 예정
11. 펄어비스, 검은사막 모바일 中 출시 예정
12.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보호법 전부개정법률 공포
13. 국고채 20년물 입찰 예정
14. 씨엔플러스 거래재개(상장유지 결정)
15. 현대제철 실적발표 예정
16. JB금융지주 실적발표 예정
17. 삼성엔지니어링 실적발표 예정
18. 일동홀딩스 실적발표 예정
19. 일동제약 실적발표 예정
20. SGC에너지 실적발표 예정
21. 현진소재 상장폐지
22. KH 일렉트론 상호변경(KH 전자)
23. 와이엠텍 권리락(무상증자)
24. 유니트론텍 권리락(유상증자)
25. 티앤알바이오팹 추가상장(무상증자)
26. 맥스트 추가상장(유상증자)
27. 디이엔티 추가상장(주식전환)
28. 트루윈 추가상장(BW행사)
29. 티사이언티픽 추가상장(BW행사)
30. 재영솔루텍 추가상장(BW행사)
31. 카카오게임즈 추가상장(CB전환)
32. 마이더스AI 추가상장(CB전환)
33. 아이큐어 추가상장(CB전환)
34. 장원테크 추가상장(CB전환)
35. 엔시트론 추가상장(CB전환)
36. HLB제약 추가상장(CB전환)
37. 한빛소프트 추가상장(CB전환)
38. 광림 추가상장(CB전환)
39. 골드퍼시픽 보호예수 해제
40. 바이온 보호예수 해제
41. 美) 2월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42. 美) 2월 S&P 코어로직/CS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43. 美) 3월 내구재주문(현지시간)
44. 美) 4월 소비자신뢰지수(현지시간)
45. 美) 4월 리치몬드 연방 제조업지수(현지시간)
46. 美) 3M 실적발표(현지시간)
47. 美) GE 실적발표(현지시간)
48. 美)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실적발표(현지시간)
49. 美) 월풀 실적발표(현지시간)
50. 美) 비자 실적발표(현지시간)
51. 美) 펩시코 실적발표(현지시간)
52. 美) 제너럴모터스(GM) 실적발표(현지시간)
53. 영국) 3월 공공부문 순차입/순상환(현지시간)
54. 日) 3월 실업률
55. 오늘의 프로야구
- 2022.04.26
|
Read More
|
26
2022.04
|
-
4/26 해외증시 마감시황
- ★미국 마감★
다우(+0.70%)/나스닥(+1.29%)/S&P500(+0.57%)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2,928.51(-5.13%)
니케이 지수 26,590.78엔(-1.90%)
★국제유가★
98.72 +0.11(+0.11%)
★ 미국 및 해외시황 ★
국채금리 급락 속 기술주 강세(+), 中 봉쇄 우려(-),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이날 뉴욕증시는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우려 등에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美 국채금리가 급락한 가운데 주요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70%, 0.57%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9% 상승.
최근 연방준비제도(Fed)의 5월 50bp 인상 예고에 따른 채권 매도세가 숨을 돌린 가운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중국 베이징 봉쇄 소식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면서 美 국채금리가 급락한 점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지난주 2.9%대까지 상승했던 美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장중 2.7%대까지 급락했고, 이에 최근 급락한 주요 기술주들이 상승 반전에 성공하며 증시 상승을 이끌었음.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의 주가가 2% 이상 올랐으며, 메타와 엔비디아의 주가도 1% 이상 상승. 트위터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인수 계약을 합의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며 5% 넘게 상승.
상해종합지수는 3,034.27(-1.71%)로 약세 출발. 장초반 3,043.82(-1.40%)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낙폭을 확대하며 3,015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임. 오후 들어 더욱 낙폭을 확대한 지수는 장중 저점인 2,928.51(-5.13%)에서 거래를 마감.
베이징 봉쇄 우려가 커진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상하이에서는 연일 코로나19 사망자가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고 베이징 내 코로나19 신규 감염자도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베이징 당국은 금일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일부 지역에 대해 사실상의 봉쇄 조치를 단행한다고 밝힘. 이에 시장에서는 베이징 봉쇄 지역이 확대되면 중국과 세계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커질 것으로 우려하는 모습.
한편, 중국의 31개 성·시·자치구(홍콩, 마카오 제외)에서 전일기준 지역 내 코로나19 감염자는 2만194명(무증상 감염자 1만7,528명 포함) 나왔으며, 상하이의 무증상 코로나19 감염자 수는 1만6,983명으로 전일 1만9,657명보다 감소했지만, 유증상 감염자 수는 전일 1,401명에서 2,472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전해짐. 상하이의 코로나19 일일 신규 사망자 수는 51명으로 집계돼 지난달 집단 감염이 시작된 이후 가장 많았음.
니케이지수는 26,692.48엔(-1.52%)에서 약세 출발. 장초반 낙폭을 확대한 지수는 26,487.84엔(-2.28%)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낙폭을 만회하며 26,764.48엔(-1.26%)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낙폭을 확대하다 오후 들어 낙폭을 만회하는 모습도 보였지만 재차 낙폭을 확대하며 26,590.78엔(-1.90%)에서 거래를 마감.
美 5월 빅스텝 가능성 여파가 지속된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지난 22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5월 빅스텝 시사 발언 여파 지속 등에 급락. 파월 의장은 지난 21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최한 패널 토론에서 "금리 인상을 위해 약간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5월 회의에서 50bp가 논의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에 시장에서는 5월 빅스텝(50bp 금리인상)에 이어 6월 자이언트스텝(75bp 금리인상) 가능성까지 제기되며, 금리인상에 따른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도세가 출회.
- 2022.04.26
|
Read More
|
25
2022.04
|
-
4/25 금일 HOT이슈 예상종목
- ● '배터리 동맹' LG화학·고려아연, 합작사 설립
-> 예상 수혜주 : LG화학 고려아연 등
- 2022.04.25
|
Read More
|
25
2022.04
|
-
4/25 해외증시 마감시황
- ★미국 마감★
다우(-2.82%)/나스닥(-2.55%)/S&P500(-2.77%)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086.92(+0.23%)
니케이 지수 27,105.26엔(-1.63%)
★국제유가★
100.54 -1.21(-1.19%)
★ 미국 및 해외시황 ★
파월 Fed 의장 5월 빅스텝 시사 발언 여파 지속(-)
이날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5월 빅스텝 시사 발언 여파가 지속되면서 3대 지수 모두 급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2.82%, 2.77% 급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2.55% 급락.
전일 파월 Fed 의장이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빅스텝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점이 연일 증시에 악재로 작용. 파월 의장은 전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최한 패널 토론에서 "금리 인상을 위해 약간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5월 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에 대해 논의될 것”이라고 언급했음. 이어 현재 인플레이션이 Fed 목표치인 2%의 3배 가까운 수준임을 지적하면서 좀 더 신속한 긴축의 당위성을 강조했음. 이에 5월 빅스텝에 이어 6월 회의에서도 공격적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는 모습.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Fed가 5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을 기정사실로 보고 있으며, 6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할 가능성도 장중 94%까지 상승하기도 함.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속 美 국채금리는 강세 흐름을 이어갔음.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2.7%까지 올라서며 2018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소폭 하락했지만, 2.90% 부근에서 움직였음.
상해종합지수는 3,058.40(-0.69%)으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확대하며 3,049.36(-0.99%)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낙폭을 만회하며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임. 오후 들어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3,105.66(+0.84%)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하며 3,086.92(+0.23%)에서 거래를 마감.
中 경기 둔화 우려에도 최근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면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한편,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중국 경제 침체 우려가 지속되고 있고 제롬 파월 Fed 의장이 50bp 금리인상 가능성을 공식화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됐음. 파월 의장은 지난밤 연준의 금리인상 문제와 관련해 "내 견해로는 좀 더 빨리 움직이는 게 적절할 것"이라면서 "50bp가 5월 회의에서 검토될 것"이라고 밝힘.
금일 이강 중국 인민은행 총재는 신중한 통화정책을 지속하며 경제부양을 늘릴 것이라고 밝힘. 이어 중국 통화정책의 최우선은 물가 안정으로 특히 식품과 에너지 가격의 안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음.
니케이지수는 27,197.80엔(-1.29%)에서 약세 출발. 장초반 27,205.83엔(-1.26%)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낙폭을 확대하며 26,904.38엔(-2.35%)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27,000엔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이어가는 모습. 오후 들어 낙폭을 일부 만회한 지수는 27,105.26엔(-1.63%)에서 거래를 마감.
파월 의장이 5월 '빅스텝(50bp)' 금리 인상을 시사한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 파월 의장은 전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최한 패널 토론에서 "금리 인상을 위해 약간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5월 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에 대해 논의될 것”이라고 밝힘. 또한,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5월 FOMC에서 금리를 50bp 올리는 안을 지지한다고 밝혔으며,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Fed가 3.5% 수준까지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음. 이에 美 국채금리가 재차 상승세를 보이면서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도세가 출회되는 모습.
- 2022.04.25
|
Read More
|
25
2022.04
|
-
4/25 금일증시 주요일정
- 1. 한덕수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2. 홍남기 부총리, 싱가포르 방문 예정(현지시간)
3. 영화관/대중교통 음식물 섭취 시행 예정
4. 北 열병식 개최 예정
5. 국고채 5년물 입찰 예정
6. 현대차 실적발표 예정
7. 기아 실적발표 예정
8. 삼성카드 실적발표 예정
9. 기업은행 실적발표 예정
10. 포스코인터내셔널 실적발표 예정
11. POSCO홀딩스 실적발표 예정
12. 포스코케미칼 실적발표 예정
13. 포스코 ICT 실적발표 예정
14. LX세미콘 실적발표 예정
15. PI첨단소재 실적발표 예정
16. CNT85 변경상장(감자)
17. 메지온 추가상장(무상증자)
18. 랩지노믹스 추가상장(무상증자)
19. 플랜티넷 추가상장(무상증자)
20. 이상네트웍스 추가상장(무상증자)
21. 앤디포스 추가상장(유상증자)
22. 한창바이오텍 추가상장(유상증자)
23. 드림씨아이에스 추가상장(유상증자)
24. 엔바이오니아 추가상장(BW행사)
25. KH 건설 추가상장(CB전환)
26. 우리넷 추가상장(CB전환)
27. 호전실업 추가상장(CB전환)
28. 이엔코퍼레이션 추가상장(CB전환)
29. 엔에스엔 추가상장(CB전환)
30. 참엔지니어링 추가상장(CB전환)
31. 케이엔제이 보호예수 해제
32. 美) 3월 시카고 연방 국가활동지수(현지시간)
33. 美) 4월 달라스 연준 제조업 활동(현지시간)
34. 美) 코카콜라 실적발표(현지시간)
35. 유로존) 2월 건설생산(현지시간)
36. 독일) 4월 IFO 기업환경지수(현지시간)
37. 日) 2월 경기동향지수(수정치)
- 2022.04.25
|
Read More
|
25
2022.04
|
-
4/25 개장전 주요이슈점검
- ● 뉴욕증시, 4/22(현지시간) 파월 Fed 의장 5월 빅스텝 시사 발언 여파 지속 등에 급락… 다우 -981.36(-2.82%) 33,811.40, 나스닥 -335.36(-2.55%) 12,839.29, S&P500 4,271.78(-2.77%), 필라델피아반도체 2,989.83(-2.25%)
● 국제유가($,배럴), 달러 강세 및 中 수요 둔화 우려 등에 하락… WTI -1.72(-1.66%) 102.07, 브렌트유 -1.68(-1.55%) 106.65
● 국제 금($,온스), 연준의 긴축 우려 지속 등에 하락... Gold -13.90(-0.71%) 1,934.30
● 달러 index, 매파적 연준 영향 지속 등에 상승... +0.54(+0.54%) 101.12
● 역외환율(원/달러), +0.55(+0.04%) 1,244.48
● 유럽증시, 영국(-1.39%), 독일(-2.48%), 프랑스(-1.99%)
● 美 4월 마킷 제조업 PMI 예비치 59.7…서비스업은 54.7
● 옐런 "경기침체 예상하지 않아…인플레 고점일 수도"
● 美 금리선물 시장, 6월 금리 75bp 인상 가능성 94%로 예상
● CS, MS·아마존·웰스파고·T모바일 등 '5월의 종목' 지정
● 씨티, 다우 투자의견 상향…"인플레에도 오른다"
● 골드만 "메타플랫폼스 주가 80% 이상 오를 수 있다"
● 배런스 "오토리브 실적 부진, 자동차 산업에 적신호될 수도"
● 배런스 "GM·혼다의 고체배터리 공동개발 주목해야"
● 최대 맥주 제조사 '안호저부시' 11억달러 손상차손…러시아 지분 매각
● 슐럼버거, 1분기 순익 예상 상회…배당 인상
● 버라이즌, 1분기 순익 13% 감소…예상치는 상회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실적 호조…"소비, 팬데믹 이전 회복"
● 라가르드 "러시아 침공 경제적 여파는 세계화에 결정적 순간될 수도"
● 구로다 총재 "현 적극적 통화완화 정책 지속해야"
● 유로존 2월 경상수지 210억 유로 흑자
● 유로존 4월 제조업 PMI 55.3…예상치 54.9
● 獨 4월 제조업 PMI 54.1…20개월 내 최저
● 한은 "우크라사태 종식돼도 높은 원자재가격 상당기간 지속"
● 오후 9시까지 전국 3만3460명 확진…어제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
● 흐리고 오후부터 많은 비…강한 바람도 주의
[기업/산업]
● 5대 금융지주 1분기 순익 5조 돌파…금리상승 덕봤다
● 네이버, SM엔터 인수전 불참…카카오·CJ ENM 2파전
● 아이오닉 5·EV6, 독일 전기차 비교평가서 모델Y 제쳐
● 경총, 올해 대기업 임금인상 최소한 권고…직무·성과 중심 개편
● 하나금투, 1Q 순이익 1천193억원…전년 比 12.7%↓
● SK어스온, 말레이시아 석유 'SK427' 광구 낙찰…동남아 사업 확장
● 한경연 "자율주행 상용화 본격화…한국 규제개선 필요"
● LG화학, 남동발전과 REC 장기 구매 계약…'탄소배출 감축 인증'
● LG엔솔, 올해 RE100 60% 목표…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확대
● 우리금융 "증권사 M&A 우선…MG손보·롯카 검토한 바 없다"
● 작년 10% 오른 라면, 또 오를까…인니, 팜유수출 중단 후폭풍
● "기존 틀 깨는 파격·도전정신 부족"
● 신세계百, '푸빌라 NFT' 만들어 팔고 메타버스 영역도 확장한다
● 위기의 삼성 '이재용만 유일'…"日기업 몰락 전철 밟나"
● "일단 따자" 수십곳 벌떼 입찰…'로또 낙찰' 된 60조 公共공사
● 금리 뛰자 증권사 이달 채권손실 2조
● '넷플릭스 사태' 재연될까…美 4대 기술기업 줄줄이 실적 발표
[경제/증시/부동산]
● IMF "한국, 재정건전화 나서야…재정준칙 구체화 필요"
● 홍남기, MSCI에 "선진국지수 편입 위한 관찰대상 등재" 요청
● 홍남기 "재정 정상화서 긴축 필요…준칙 반드시 도입해야"
● "누증한 가계부채 수준…은행에 추가 자본적립 부과해야"
● "빅스텝 때문만은 아냐"…환율 급등 뒤엔 국민연금·서학개미 있다
● 뉴욕증시, 애플·아마존·알파벳 등 1분기 실적 발표
● 상하이증시, 中증시 혼조…4월 제조업 PMI 주목
● 공사중단 10일째 둔촌주공…조합, 시공사 교체카드 꺼낼까
● "금리 인상에 이자부담 커져…아파트 경매물건 쏟아질 것"
●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재건축 규제 완화땐 집값 불안…신중 접근해야"
● "다주택 징벌 과세 없애야 거래 숨통…취득세 2% 단일세율로"
● "이사갈 수 있겠네"…일시적 2주택자 종부세 안낼수도
[정치/사회/국내 기타]
● 한덕수 인사청문회 파행할 듯…민주 "자료 불성실", 첫날 보이콧
● 安 '과학수석' 건의 통할까…대통령실 인선 금주 발표
● 외교장관 공관, 새 대통령 관저로 확정
● 尹정책협의단 방일…27일 기시다 만난다
● 여야 합의 이틀만에…이준석, 검수완박 제동
● 검수완박땐 경찰 막강권한…'공룡 경찰' 누가 견제하나
● 당내 "합의철회" 요구에…권성동, 사과 진땀
● 코너에 몰린 檢…위헌청구 나서나
● '경제 폭망' 아니라는 靑…아전인수 진단 논란
● 원조친노 이광재 vs 기사회생 김진태…격전지 강원서 맞대결
● 김은혜 빠진 분당갑에…안철수 재보궐 등판설 솔솔
● 불붙는 이명박 김경수 사면론…文, 25일 간담회서 입장 밝힐 듯
● 민주 서울시장 경선, 결국 송영길·박주민
● 대구 홍준표·강원 김진태…국힘 경선 尹心 안통했다
● 정부,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ODA와 연계 추진
● 산재 사망자 오히려 60% 늘었다…중대법에도 예방효과 미미
● 26일 수도권 버스 총파업 예고…교통대란 '비상'
● 中 봉쇄로 가격 뚝…이번엔 킹크랩 파티?
● 서울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내년 착공
[국제/해외]
● 봉쇄쇼크…상하이 3월 산업생산 7.5% 감소
● 美 국무·국방 장관 우크라 방문…對러항전 지지·군사지원 논의
● "테슬라 공매도 했어?"…게이츠에 따진 머스크
● 빅테크 또 때린 EU "구글·메타, 유해물 안거르면 과징금"
● 위안화 8개월 만에 '최저'…외국인, 中시장서 발 뺀다
● 美 바이든 대신 블링컨이 키이우 간다
● 年 17조엔…日 '탈석탄 청구서'
● 몰도바 동부, 제2의 돈바스 되나
● 인니, 팜유 수출 금지…식량난에 기름 부을라
● 유니클로 회장마저 "일본에 도움 안돼"…이제야 '나쁜 엔저' 인정한 日
● '나쁜 엔저' 알면서도 멈출 수 없는 일본은행…돈풀기 계속한다
● 망한 게임도 손만 대면 '초대박'…가난했던 소년의 인생역전
● 中 게임시장 다시 열렸지만 글로벌기업들 여전히 '울상'
- 2022.04.25
|
Read More
|
22
2022.04
|
-
4/22 금일 HOT이슈 예상종목
- ● 전기차 가격 올려도 '씽씽'…테슬라 순익 7배 껑충
-> 예상 수혜주 : 효성첨단소재 삼성SDI SK이노베이션 현대차 기아 등
- 2022.04.22
|
Read More
|
22
2022.04
|
-
4/22 금일증시 주요일정
- 1.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연설(현지시간)
2. 홍남기 부총리, MSCI 회장 면담 예정(현지시간)
3. 대통령직인수위, 산재 전속성 폐지 논의
4. 21년 결제통화별 수출입(확정)
5. 4월 국고채 모집 방식 비경쟁인수 발행 여부 및 발행계획
6. KB금융 실적발표 예정
7. 신한지주 실적발표 예정
8. 하나금융지주 실적발표 예정
9. 우리금융지주 실적발표 예정
10. 현대모비스 실적발표 예정
11. 현대건설 실적발표 예정
12. 현대위아 실적발표 예정
13. 에스에스알 거래재개(상장적격성 실질심사대상 제외 결정)
14. 나노스 상호변경(SBW생명과학)
15. 샘코 상호변경(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16. 제이콘텐트리 상호변경(콘텐트리중앙)
17. 세종텔레콤 거래정지(감자)
18. 글로벌텍스프리 추가상장(유상증자)
19. 세원이앤씨 추가상장(유상증자)
20. 초록뱀컴퍼니 추가상장(주식전환)
21. 나무가 추가상장(BW행사)
22. 엠벤처투자 추가상장(CB전환)
23. KH 필룩스 추가상장(CB전환)
24. 이엔플러스 추가상장(CB전환)
25. 인콘 추가상장(CB전환)
26. 비에이치 추가상장(CB전환)
27. 디티앤씨 추가상장(CB전환)
28. 미래생명자원 추가상장(CB전환)
29. 차백신연구소 보호예수 해제
30. 美) 4월 제조업 PMI 예비치(현지시간)
31. 美) 4월 서비스업 PMI 예비치(현지시간)
32. 美) 4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33.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34. 美) 버라이즌 실적발표(현지시간)
35. 美)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실적발표(현지시간)
36. 유로존) 4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37. 독일) 4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38. 영국) 4월 CIPS / 마킷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39. 영국) 3월 소매판매(현지시간)
40. 日) 4월 제조업 PMI 예비치
41. 日)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42. 오늘의 프로야구
- 2022.04.22
|
Read More
|
22
2022.04
|
-
4/22 개장전 주요이슈점검
- ● 뉴욕증시, 4/21(현지시간) 파월 Fed 의장 5월 빅스텝 가능성 시사 등에 큰 폭 하락… 다우 -368.03(-1.05%) 34,792.76, 나스닥 -278.42(-2.07%) 13,174.65, S&P500 4,393.66(-1.48%), 필라델피아반도체 3,058.74(-2.66%)
● 국제유가($,배럴), EU,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 우려 등에 상승… WTI +1.60(+1.57%) 103.79, 브렌트유 +1.53(+1.43%) 108.33
● 국제금($,온스), 연준, 공격적인 긴축 우려 등에 하락... Gold -7.40(-0.38%) 1,948.20
● 달러 index, 파월 Fed 의장 빅스텝 가능성 시사 속 상승... +0.22(+0.22%) 100.61
● 역외환율(원/달러), +5.58(+0.45%) 1,242.55
● 유럽증시, 영국(-0.02%), 독일(+0.98%), 프랑스(+1.36%)
● 미 주간 실업보험 청구 18만4천명…월가 예상 상회
● 美 4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17.6…전월보다 크게 하락
● 美 3월 경기선행지수 전월比 0.3%↑…월가 예상 상회
● 파월 "5월 50bp 금리 인상 유효…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 적절해"
● 연준 위원들 "5월에 50bp 인상 지지…정책금리 3.5%까지 올려야"
● 옐런 재무 "유럽, 러시아산 에너지 금수는 득보다 해가 많을 수도"
● '비둘기' 시카고 연은 총재, 2023년 초 퇴임 예정
● 마켓워치 "미 30년 모기지 금리 5.11%"… 7주 연속 고공행진
● 바이든, 우크라이나 추가 군사·경제적 지원 패키지 발표
● 크래머, 넷플릭스 폭락에 "디즈니·파라마운트 주목"
● 라가르드 "3분기 중 자산매입 중단 시점 판단…그 후 금리 고민"
● 잉글랜드은행 통화정책위원, 50bp 금리 인상 가능성 시사
● ECB 부총재 "7월 정책금리 인상 가능…지표에 따라 결정"
● BOJ "5-10년물 일본국채 지정가 매입 응찰자 없어"
● 웰스파고 "달러-엔, 가까운 시일 내 135엔까지 치솟을 것"
● 무디스, 韓 국가신용등급 'Aa2, 안정적' 유지
● 남북정상, 문대통령 퇴임앞두고 친서교환…"노력하면 관계발전"
● 오후 9시까지 전국서 7만6430명 확진…어제보다 1만1366명 적어
● 흐리고 곳곳 비…낮 최고기온 '30도'
[기업/산업]
● 삼성重, '악성재고' 드릴십 4척 사모펀드에 매각…유동성 4천500억 확보
● 삼성전기, 애플에 반도체 기판 공급
● "코스닥 문턱서 좌절"…韓 바이오벤처, 결국 나스닥行 택한 이유
● SK에코플랜트, IPO 주관사에 NH·CS·씨티…해외투자자 정조준
● 대통령 직속 '반도체 민관합동委' 만든다
● 美 SES, 충주에 '차세대 배터리' 공장
● 조석래, 효성·효성티앤씨 자사주 56억 매입
● LCC 3社, 올해도 적자탈출 어려울 듯
● 네이버 실적쇼크…"비대면 특수 끝났다"
● 코로나 확찐자들 '보복 회식' 달리다간…고혈압 당뇨 위험 '빨간불'
● 집콕하던 '58년 개띠', 배달앱·OTT 맛들렸네
● "우리와 제발 일해달라"…포르쉐, 벤츠, BMW가 꽂힌 한국기업은
● 일할 사람 없어 난리인데…"외국인노동자 뽑지 말라"는 조선 노조
● 대한항공에 과징금 폭탄…러시아의 '억지'
● "하루 20만벌 물빨래"…군포에 세계 최대 세탁소 생긴다
● 제일기획 새 디지털 전략…"메타 포메이션으로 간다"
● LG유플, 양자컴으로도 못 뚫는 전용회선 내놔
● SK브로드밴드 '웹엑스' 결합서비스 출시…통화·영상회의 최적 지원
● 갤럭시에 폐어망 재활용…탄소배출 25% 저감효과
● 유전자 가위로 암세포만 골라 죽인다
● 동구바이오, 비뇨기 처방시장 공략
[경제/증시/부동산]
● 이창용 "성장·물가 상충 통화정책 운용 제약…균형 잡아야"
● 무디스 "韓 고령화로 재정적자 장기화"
● IMF "한국 연금지출 증가 속도 세계 4위"
● 작년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 84.7조…2014년 이후 최저치
● 자영업자 이자부담 덜까…2금융권서 빌린 돈, 은행 대출로 바꿔준다
● 이달 52억弗 무역적자…치솟는 에너지값 '비명'
● 신용대출 10% 넘는데…20%에 묶인 최고금리
● "나올만한 악재 다 나와…주가 빠질 때마다 주워 담아라"
● 40년간 갚는 주담대 나온다…"DSR 완화효과"
● "제2의 둔촌사태 막자" 신탁 재건축 재조명
● 재건축 집값 불안에…서울 4곳 토지거래허가 재지정
● '압구정 59억' 심상치 않네…서울시, 결국 '칼' 뺐다
● 강남4구 상승폭 확대…분당·고양도 재건축 위주로 올라
● 1분기 땅값 0.91% 올라…2분기째 둔화·세종 1.31%로 최고
● 주택연금 가입기준 공시가 9억→12억
● 서울 사대문안 도심 높이 제한 확 푼다
● 레미콘 업계 "30평 아파트 원가 300만원"...건설업계 "비용압박"
[정치/사회/국내 기타]
● 반대여론 50%인데…민주당, 본회의 소집요구 '검수완박 직진'
● "난 검수덜박계" "묘수 아닌 꼼수"…민주당 내부서도 이탈자 속출
● 尹 '경제안보비서관' 신설…국가안보실 핵심 업무로
● 인수위, 선거 눈치봤나…교육교부금 개혁 외면
● 광양제철소 찾은 尹 "포스코, 韓산업발전에 늘 주축"
● IT개발자 100만명 양성 나선다…인수위 '디지털 배지' 도입 추진
● 조정훈 "우상이었던 민주화 선배들, 괴물로 변해"
● 송영길 결국 살렸다…민주당 "서울시장, 국민경선 100% 실시"
● "강원 전성시대 열겠다"…이광재, 지사 출마선언
● "삼성 프락치냐" "광주출신 맞냐"…검수완박 반대 양향자에 문자폭탄
● '文비서실장' 노영민 vs '尹특별고문' 김영환…충북서 붙는다
● 국힘 윤리위, '성상납 의혹' 이준석 대표 징계절차 시작
● 복지부, "정호영 후보자 아들 공익근무 판정에 문제 없어"
● 尹정부 검찰, '재계 저승사자' 공정위서 파견 받는다
● 자영업자 코로나 손실 '100% 보상'
● 음식배달 다회용기 자리 잡으려면…'착한 소비' 넘는 보상 필요
● 정부 "민자도로 올 통행료 동결"…수백억원 차액 '혈세'로 메운다
● 울산 수소선박, 태화강서 닻 올렸다
[국제/해외]
● 中성장 둔화 조짐에 투자 발 빼는 외국인들
● Fed "구인난이 인플레 자극…美경제 불확실성 커졌다"
● "프랑스 한방에 날릴 위력"…'괴물 미사일' 꺼내든 푸틴
● 미뤘던 첫 통화한 美中국방…대만·우크라 입장차 재확인
● 안전자산 달러 가치 2년만에 최고
● "르펜, 푸틴에 의존" vs "마크롱은 경제 실패"
● 러시아 에너지 끊으면 침체 우려에도…獨 "연내 러 석유 금수" 결단
● '엔저'에 취해 구조개혁 놓쳐…소·부·장 빼면 빈수레
● 日 '배터리 주도권' 정조준…2030년까지 생산량 20배로
● 전기차 가격 올려도 '씽씽'…테슬라 순익 7배 껑충
● 아프간 북부서 연쇄 폭탄테러…IS, 모스크 공격 배후 자처
● 40만명 확진됐는데 사망자 17명?…"中 코로나 통계 속이고 있다"
- 2022.04.22
|
Read More
|
22
2022.04
|
-
4/22 해외시장 마감시황
- ★미국 마감★
다우(-1.05%)/나스닥(-2.07%)/S&P500(-1.48%)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079.81(-2.26%)
니케이 지수 27,553.06엔(+1.23%)
★국제유가★
103.69 -0.36(-0.35%)
★ 미국 및 해외시황 ★
파월 Fed 의장 5월 빅스텝 가능성 시사(-), 기업 실적 호조(+)
이날 뉴욕증시는 장초반 기업 실적 호조 등에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5월 빅스텝 금리 인상을 시사한 영향으로 하락세로 돌아서며 3대 지수 모두 큰 폭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05%, 1.48%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07% 급락.
파월 Fed 의장이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빅스텝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파월 의장은 이날 국제통화기금(IMF)이 주최한 패널 토론에서 "금리 인상을 위해 약간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5월 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에 대해 논의될 것”이라고 언급했음. 아울러 현재 인플레이션이 Fed 목표치인 2%의 3배 가까운 수준임을 지적하면서 좀 더 신속한 긴축의 당위성을 강조했음. 이에 10년물 국채금리가 장중 2.95%까지 오르는 등 美 국채금리가 재차 상승세를 보이면서 주요 기술주들에 부담으로 작용.
상해종합지수는 3,138.43(-0.40%)으로 소폭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줄이며 상승전환 뒤 3,160.90(+0.31%)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하락전환 뒤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낙폭을 일부 만회했으나 재차 하락세를 보이며 장막판 3,069.68(-2.58%)에서 저점을 형성한 끝에 3,079.81(-2.26%)에서 거래를 마감.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中 코로나19 봉쇄 장기화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 등에 하락 마감했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중국 내 주요 도시 봉쇄 조치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금일 개최된 보아오포럼에서 "중국의 경기둔화가 계속 이어지면 세계에 큰 파급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음.
아울러 중국의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약화된 점도 증시에 하방압력을 가함. 전일 중국 인민은행은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전월과 같은 3.7%로 동결했음. 이는 3개월 연속 동결이며,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5년 만기 LPR도 전월과 같은 4.6%로 집계됐음.
니케이지수는 27,259.14엔(+0.15%)에서 강보합 출발. 장초반 27,252.83엔(+0.13%)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오전 장중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 상승폭을 일부 축소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내 상승폭을 확대하며 27,580.64엔(+1.33%)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27,553.06엔(+1.23%)에서 거래를 마감.
美 국채 금리 하락 및 나스닥 지수 선물이 상승한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지난밤 뉴욕채권시장은 美 10년물 국채 금리가 약 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숨고르기 장세 속 강세 마감했음. 아울러 테슬라가 호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美 나스닥 지수 선물이 상승하면서 시장에서는 투심이 개선되며 성장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 테슬라는 전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을 발표. 테슬라의 1분기 매출은 187억6,000만 달러(23조1,600억원)를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81%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인 178억 달러를 상회했음. 같은 기간 순이익은 33억2,000만 달러(4조1,000억원)로 전년동기대비 7배 넘게 증가했으며, 주당순이익은 시장 예상치(2.26달러)를 뛰어넘는 3.22달러를 기록.
- 2022.04.22
|
Read More
|
21
2022.04
|
-
4/21 금일 HOT이슈 예상종목
- ● "메타버스·6G, 국정과제로 집중 육성"
-> 예상 수혜주 : 다날 한빛소프트 삼성전자 등
- 2022.04.21
|
Read More
|
21
2022.04
|
-
4/21 개장전 주요이슈점검
- ● 뉴욕증시, 4/20(현지시간) 넷플릭스 충격 속 혼조 마감… 다우 +249.59(+0.71%) 35,160.79, 나스닥 -166.59(-1.22%) 13,453.07, S&P500 4,459.45(-0.06%), 필라델피아반도체 3,142.20(-0.35%)
● 국제유가($,배럴), 美 원유재고 감소 등에 강보합… WTI +0.19(+0.19%) 102.75, 브렌트유 -0.45(-0.42%) 106.80
● 국제 금($,온스), 반등 재료 부진 속 소폭 하락... Gold -3.40(-0.17%) 1,955.60
● 달러 index, 美 국채수익률 하락 속 약세... -0.61(-0.61%) 100.35
● 역외환율(원/달러), -1.06(-0.09%) 1,234.11
● 유럽증시, 영국(+0.37%), 독일(+1.47%), 프랑스(+1.38%)
● 美 3월 기존주택 판매 2.7%↓…모기지 금리 상승에 가격은↑
● EIA 주간 원유재고 802만 배럴 깜짝 감소…WTI 가격 상승 전환
● 연준 베이지북 "경제활동 '보통' 속도로 확장"
● 샌프란 연은 "신속한 인상으로 연말 중립금리 도달해야"
● 독일 외무 "연말까지 러 석유 수입 중단"
● 러, 우크라에 협상안 전달 주장…"답 기다릴 것"
● 테슬라, 1분기 매출 81% 증가…순익 7배 넘게 급증
● 리시아모터스, 상승세…실적 예상치 상회
● 美, 우크라군 50여명에 155mm 곡사포 운용법 직접 훈련
● CE "인민銀, LPR 동결에 시장 실망…올해 20bp 인하 예상"
● 월가 전문가 "BOJ, 엔저 막기 위한 YCC 포기 여부 주시"
● "中 해운산업 4월 말부터 강한 반등할 것"
● 캐나다 3월 CPI 전년보다 6.7% 상승…1991년 1월 이후 최고
● 유로존 2월 산업생산 전월비 0.7% 증가…증가세로 전환
● 유로존 2월 무역적자 94억 유로로 확대
● 미즈호 "中 위안화, 시장심리 악화에 하락 압력"
● 유가 상승 등에 생산자물가 한 달 새 1.3%↑…5년여만에 최대폭
● 오후 9시까지 전국서 8만7796명 확진…어제보다 2만127명 적어
● 낮 최고 26도...가끔 구름 많은 가운데 일부 지역 비
[기업/산업]
● 현대차·기아, 1분기 유럽 판매 26만9천350대…르노·BMW그룹 제치고 3위
● 삼성 "모든 기기, 하나로 연결"…LG "이용자가 가전 업그레이드"
● 호텔신라, 공모채 복귀전 9천억원 모으며 흥행…3년물 '-5bp'
● 사업 영토 넓히는 SKT·KT…"DX기업으로 불러주세요"
● 삼성금융 통합 앱 모니모, 나흘 만에 개인정보 유출
● 저작권 조각투자도 '증권'…금융당국 규제 받는다
● "대체자산 조각투자 활성화" vs "제재 유예는 나쁜 선례"
● 권영세 "드론·양자산업 中에 밀려…정부가 혁신산업 R&D 밀어줄 것"
● 車에 노트북·프린터 연결…스마트 오피스로 변신한 EV6
● 삼성 스마트폰, GOS 논란 딛고 전 세계 판매량 1위…아이폰은
[경제/증시/부동산]
● 美금리인상·中저성장…외풍에 흔들리는 원화값
● 굳어진 '엔저 시대'…달러당 129엔, 20년만에 최저
● "경기부양 약효 소진됐다…내년에도 2%대 저성장 각오해야"
● 美금리 무작정 동조땐 부작용…침체 막으려면 보폭조율 필요
● 칼국수도 마음놓고 못먹겠네…밀 1톤 가격, 13년만에 400달러 돌파
● 선진국 '빚 다이어트' 하는데…韓은 되레 늘어 증가폭 1위
● 美기침보다 中재채기에 코스피 '출렁'
● 올 들어 서울 '대단지 분양' 딱 2건…공급가뭄에 서울 집값 불안
● 중소도시 아파트값 '껑충'…속초 1년새 56.2% 올라
● 흑석동 '한강현대' 재건축 첫 관문도 못넘어
● 아랫집 눈치 안 봐도 되겠네…'층간소음' 드디어 잡았다
● 산본신도시도 첫 예비안전진단 신청
● 서울보다 청약 커트라인 높은 이곳…고가점자들 대거 몰렸다
● "재산세 최대 30% 감면"…서울시, 인수위에 제안
[정치/사회/국내 기타]
● 尹정부, 원전18기 수명 연장 나선다
● 美도 7.4조 들여 노후 원전 가동
● 尹, 성 김과 비공개 '상견례'…한미공조 강화 의지 밝혀
● 갈등 중재? 민주 지지? 박병석이 남은 이유는
● 이런 꼼수까지…민주, 검수완박 처리용 '위장 탈당'
● 코로나 2차 추경 최대 '35조+α'…대부분 현금으로 손실보상
● 尹 관저로 외교장관 공관 써도 당분간 서초동 출퇴근 불가피
● 전용기서 새만금 보고받은 尹…"기업 바글거리게 할것"
● 30대 장관 대신 예산폭탄…尹정부 '청년정책실' 예산 10배 늘린다
● '5월 방역해제' 제동 건 인수위…"마스크 벗기 신중해야"
● 감염병 또 온다…주먹구구 '방역 사령탑' 일원화 시급
● 내달부터 모든 학교 정상등교…짝꿍 생기고 수학여행 간다
● "공시가? 실거래가?" 이상민 후보자 57억 집 고무줄 재산신고
● 공천배제 宋 "이재명 복귀 막기위한 선제타격" 반발
● 국힘, 22일 경기지사 경선 발표…김은혜·유승민 막판까지 '불꽃'
● 검수완박 강행에 기업 비상…"경찰까지 우리 들쑤시면 어쩌나"
● 北, 1만여명 동원 대규모 열병식 준비
● 산업부, 美주도 경제협력체 IPEF 가입 추진 TF 신설
● 靑 5월 10일 국민품으로…개방안내 홈페이지 오픈
[국제/해외]
● 中, 석달째 금리 동결…돈풀기 속도조절
● 美中 국방, 15개월만에 첫 통화…대만·우크라 문제 놓고 신경전
● 러, 3주만에 우크라에 협상안 전달…돈바스 공세는 지속
● 세 가지 악재 겹친 넷플릭스…하루 새 시총 49조 증발
● 구글 자체 스마트시계 '픽셀워치' 출시 임박?…둥근 모양
● 독일 "북 탄도미사일 발사 규탄…국제·지역 안정 위태롭게 해"
● 엔저·경상적자 악몽…일본이 휘청인다
● 주택 착공 16년來 최대…美 건설주 환호
● 고유가에…셰일 시추업체, 6년 만에 美 IPO 등판
● 존슨앤드존슨 1분기 호실적…美 의료기기 업체들 날았다
- 2022.04.21
|
Read More
|
21
2022.04
|
-
4/21 금일증시 주요일정
- 1. 제롬 파월 美 연준 의장 연설(현지시간)
2.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연설(현지시간)
3. IMF 총재·ECB 총재·美 연준 의장 회담(현지시간)
4. 홍남기 부총리, S&P 글로벌 총괄 면담 예정(현지시간)
5. TSMC-소니 합작 반도체 공장 착공식
6.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취임식 예정
7. 3월 생산자물가지수
8. NAVER 실적발표 예정
9. 제주은행 실적발표 예정
10. 미래에셋비전스팩1호 신규상장 예정
11. 두산중공업 상호변경(두산에너빌리티)
12. 위지트 추가상장(유상증자)
13. 비보존 헬스케어 추가상장(유상증자)
14. 인포마크 추가상장(유상증자)
15. CBI 추가상장(CB전환/BW행사)
16. 현대무벡스 추가상장(CB전환)
17. 알파홀딩스 추가상장(CB전환)
18. 아난티 추가상장(CB전환)
19. 지아이텍 보호예수 해제
20. 해성티피씨 보호예수 해제
21. 위지윅스튜디오 보호예수 해제
22. 美) 3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23. 美) 4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24.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5. 美) AT&T 실적발표(현지시간)
26. 美) 누코(NUCOR) 실적발표(현지시간)
27. 美) 유니언퍼시픽 실적발표(현지시간)
28. 유로존)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확정치(현지시간)
29. 오늘의 프로야구
- 2022.04.21
|
Read More
|
21
2022.04
|
-
4/21 해외증시 마감시황
- ★미국 마감★
다우(+0.71%)/나스닥(-1.22%)/S&P500(-0.06%)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151.05(-1.35%)
니케이 지수 27,217.85엔(+0.86%)
★국제유가★
102.08 -0.36(-0.35%)
★ 미국 및 해외시황 ★
넷플릭스 폭락(-), 美 국채금리 하락(+)
이날 뉴욕증시는 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가 예기치 못한 어닝 쇼크를 기록한 가운데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가 0.71% 상승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1.22% 하락했으며 S&P500지수는 0.06% 하락.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넷플릭스가 어닝 쇼크를 기록한 점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넷플릭스는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유료 회원이 2억2,160만명으로 지난해 4분기(2억2,180만명) 대비 20만명 감소했다고 발표. 넷플릭스 가입자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1년 이후 처음이며, 2분기에도 가입자가 200만명 급감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넷플릭스의 1분기 매출은 78억7,000만 달러를 기록해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으며, 순이익도 전년동기(17억1,000만 달러)대비 감소한 16억 달러를 기록. 영업 이익률은 27.4%에서 25.1%로 떨어졌음. 넷플릭스 주가는 35% 넘게 폭락하며 2004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 이에 월트 디즈니 등 여타 스트리밍 업체들도 동반 하락했으며, 애플, 아마존, 메타, 테슬라,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 투자심리를 악화시켰음.
상해종합지수는 3,189.89(-0.13%)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낙폭을 확대하며 3,170선을 밑돌던 지수는 이내 낙폭을 만회하며 오전 장중 3,191.83(-0.07%)에서 고점을 형성. 오후 들어 재차 낙폭을 확대한 지수는 장막판 3,142.05(-1.63%)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낙폭을 소폭 만회하며 3,151.05(-1.35%)에서 거래를 마감.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중국 인민은행의 대출우대금리(LPR) 동결 소식 등에 하락 마감했음. 인민은행은 금일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전월과 같은 3.7%로 동결했음. 이는 3개월 연속 동결이며,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5년 만기 LPR도 전월과 같은 4.6%로 집계됐음. 최근 1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이 연간 목표치인 5.5% 안팎에 못 미쳤다는 이유로 LPR을 인하할 것으로 전망됐으나, 미국이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어 추가로 금리를 인하하기엔 부담이 컸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와 관련 캐피털이코노믹스(CE)는 인민은행의 LPR 동결에 대해 "대규모 완화조치를 꺼리는 것을 보면 2020년과 같은 강력한 부양 주도의 반등을 기대해서는 안 된다"고 평가함.
니케이지수는 27,210.79엔(+0.84%)에서 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확대하며 27,389.84엔(+1.50%)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상승폭을 축소하다 27,066.18엔(+0.30%)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재차 확대한 지수는 오후 들어서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27,217.85엔(+0.86%)에서 거래를 마감.
美 증시 상승 영향을 받은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 지난밤 뉴욕증시는 美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이어갔지만,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큰 폭 상승. 이와 관련, 시티즌스 파이낸셜 그룹, 손해보험사 트래블러스 등의 기업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도요타자동차, 中 공장 가동 재개 기대감 및 최근 엔화 약세 지속 속 자동차 업종이 강세를 보인 점도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도요타자동차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중국 최대 자동차 생산 거점 중 하나인 지린성 창춘에서 한달간의 영업 중단을 마치고 조업을 재개할 준비 중이라고 밝힘. 이러한 가운데, 이날 아시아장에서 엔/달러 환율이 장중 129엔을 돌파하며, 130엔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전망에 근접했음. 이에 도요타자동차(+3.74%), 닛산자동차(+4.66%) 등 자동차 관련주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음.
- 2022.04.21
|
Read More
|
20
2022.04
|
-
4/20 금일 HOT이슈 예상종목
- ● 오미크론 새변이 국내감염 첫 확인
->예상 수혜주 : 휴마시스 엑세스바이오 등
- 2022.04.20
|
Read More
|
20
2022.04
|
-
4/20 개장전 주요이슈점검
- ● 뉴욕증시, 4/19(현지시간) 국채금리 급등에도 기업 실적 기대감 등에 큰 폭 상승… 다우 +499.51(+1.45%) 34,911.20, 나스닥 +287.30(+2.15%) 13,619.66, S&P500 4,462.21(+1.61%), 필라델피아반도체 3,153.23(+2.21%)
● 국제유가($,배럴),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 등에 급락… WTI -5.65(-5.22%) 102.56, 브렌트유 -5.91(-5.22%) 107.25
● 국제 금($,온스), 달러화 강세에 약세... Gold -27.40(-1.38%) 1,959.00
● 달러 index, 연준 위원 매파적 발언 등에 상승... +0.21(+0.20%) 100.99
● 역외환율(원/달러), +4.85(+0.39%) 1,239.80
● 유럽증시, 영국(-0.20%), 독일(-0.07%), 프랑스(-0.83%)
● 美 3월 신규주택 착공 전월比 0.3%↑…허가는 0.4%↑
● 시카고 연은 총재 "연말까지 기준금리 2.5%까지 인상 예상"
● IMF "전쟁, 글로벌 금융시스템 회복력 시험할 듯"
● IMF "러' 우크라 침공으로 세계 경제 전망 심각히 후퇴"
● 넷플릭스, 11년 만에 처음으로 가입자 감소…주가 폭락
● 머스크의 스페이스X, 델타항공과 기내 위성 인터넷 시험 중
● 美 "北, 사이버범죄로 제재 회피…가상화폐 돈세탁 차단해야"
● 우크라 "러시아 대공세는 크림-돈바스 육로 연결이 목적"
● 독일 올 러 석유·가스에 43조…러 국방예산의 57%
● 中 관영매체 "2분기 대출우대금리 하락 전망"
● 엔화, 유로화에 6년8개월래 최저
● 日 재무상, 엔저 지속에 "급격한 변동 바람직하지 않다" 재차 강조
● IMF, 한국 성장률 전망 3.0→2.5% 하향…물가 4.0%
● 이창용 "금리, 아직 완화적이며 인상 방향…성장도 균형있게 고려"
● 오후 9시까지 전국서 10만7923명 확진…어제보다 7985명 적어
● 비 없이 맑은 초여름 날씨…낮 한때 27도까지 올라
[기업/산업]
● 배 만들어 팔아도 '속빈강정' 되나…조선사 후판값 비상
● LG 가전, 월풀 제치고 세계 1위…'역대급' 격차
● 'A+' SK디스커버리, 회사채 수요예측서 완판 성공
● 기관투자가 '뻥튀기 공모 청약' 손본다
● 외국인 보호예수 사실상 0%…첫날 매도해 주가 끌어내린 주범
● 새 개편안 첫 타자는…컬리? CJ올리브영?
● 공대 실험실까지 '반도체 대란'
● '박리다매' 車반도체에 뛰어들 기업없어…2025년까지 공급난 예고
● 새 차 출고 1년 기다리다 연식 변경되자…"돈 더내라"
● 한국조선해양, 가상공간서 자율운항 여객선 시운전 성공
● 대우조선 노조, 임단협 잠정안 52.85% 찬성 가결
● SLL, 국내 넘어 글로벌 스튜디오 도약 시동…3년간 3조 투자
● 갤S22울트라, 미국·캐나다서 아이폰 제치고 5G 속도 1위
● IT업계 대면회의·출장 허용하고 시설 정상화…재택근무는 유지
● 삼성전자 M&A 빨라지나…안중현 사장 승진·UBS 출신 임병일 전진배치
● 통상본부장, 美 대사대리 만나 철강232조 개선 협상 개시 촉구
● '4년뒤 1천조' 韓가상자산 시장, 모래주머니에 신음
● 네카라는 옛말…개발자가 뽑는 '진짜' 신의 직장은 '몰두센'
● 인수위 "중대재해·화평법·주52시간은 기업 족쇄"…전면수술 예고
[경제/증시/부동산]
● 이창용 "인기 없더라도 금리로 물가 잡겠다"
● 이창용 "빅스텝 금리인상, 물가가 얼마나 빨리 오를지 보고 결정"
● 기재위, 이창용 한은총재 후보자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 3월 수입밀 t당 400달러 돌파, 2008년 이후 최고…식품물가 부담↑
● 푸틴이 깎아내린 세계 성장률
● 소득 52조 늘때 가계 빚은 135조 불었다
● 대출금리 올린 은행 '인하요구권'은 모르쇠
● 적격대출·보금자리론도 年 4%대 금리 '시간문제'
● 호남 제주 수도권 건설현장 200여곳 셧다운…갑자기 무슨 일?
● '금싸라기땅' 용산정비창 개발 발표, 4개월째 늦어지는 이유
● "주택 재산세 4단계 기준금액 조정해야"…서울시, 인수위 전달
● 둔촌주공 사태로 본 '유치권'…트리마제 부지도 좌초 '흑역사'
● 아파트 거래절벽에…'대체재' 오피스텔 인기도 시들
● "빌라라도 사자" 서울 소형 거래 최고치
● "서울이 아니었다"…전국에서 집값 가장 많이 오른 동네
● 작년 7월 세종아파트 샀다가 상투 잡았네…38주 연속 집값 하락
[정치/사회/국내 기타]
● 인수위 "추경 규모 미정…2~3차례 추가 논의해야"
● 인수위, 상하이發 물류위기에…"유턴 기업 지원을 국정과제로"
● 윤석열 경제팀 복병은 '스텔스 부실'
● "신안 풍력발전 경제성 있나"…인수위, 신재생 과속에 제동
● 尹 관저, 외교장관 공관 급부상…육참총장 공관 안쓴다
●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송영길·박주민 배제
● "조사 받겠다" 버티는 정호영…尹측 "40년지기 아니다" 미묘한 선긋기
● 尹정부 싱크탱크는 서울국제포럼·금융연구회
● 김재원·유영하, 단일화 결국 무산
● 공정위원장에 강석훈·구상엽 압축
● 민주당 강원지사 이광재 차출
● 이상민, 자녀 강남8학군 배정 노린 위장전입 의혹
● '文 1호 지시' 일자리위원회 폐지…식물위원회 싹 없앤다
● 병사월급 200만원은 '세전' 기준…코로나 손실보상 후 추진
● '징역·벌금형' 중대재해법, 벌금형 위주로 완화한다
● 무심코 쓰고 버린 플라스틱, 돌고돌아 내가 먹고 입고 마신다
● 수입 짭짤하다는 소식에 너도나도…2년새 배달원 23% 급증
● 오미크론 새변이 국내감염 첫 확인
[국제/해외]
● 러 용병단 가세, 돈바스 총공세…美 무기 속속 우크라 도착
● 머스크와 이사회 '전면전'…트위터에 지금 무슨 일이
● 디지털 광고 사업 뒤흔드는 틱톡…메타·알파벳 충격 얼마나
● 美,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화 폐지 뒤 환영·불안 엇갈려
● "로보택시가 새 동력…테슬라 주가 4600달러 간다"
● 경영난 외국기업 "中 제로코로나 그만"
● 美, 한국 등 여행금지 해제…법원 "마스크 의무화 무효"
● "1조달러 인프라 건설, 미국산만 써라"
● 전쟁이 들쑤신 곡물 가격…옥수수 두달새 30% 급등
● "美금리 단번에 0.75%P 올려야"…더 독해진 매파
● 中 3월 신규주택 판매 29% 급감
- 2022.04.20
|
Read More
|
20
2022.04
|
-
4/20 금일증시 주요일정
- 1. 美) 3월 기존주택판매(현지시간)
2. 美) 테슬라 실적발표(현지시간)
3. 中) 4월 대출우대금리(LPR) 발표 예정
4. G20 재무장관 회의(현지시간)
5.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기자회견(현지시간)
6.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기자회견(현지시간)
7.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8.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9.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10. 상하이 봉쇄 추가 완화 예정
11. 문승욱 산업부 장관, 보잉社 방문 예정
12. 현대차, NFT 발행 예정
13. 월드IT쇼(WIS) 개최
14. 세계보안엑스포
15. 데이터 기본법 시행령 발효 예정
16. 롯데손해보험 실적발표 예정
17. 포바이포 공모청약
18. 상상인스팩3호 공모청약
19. 스포츠서울 상장폐지
20. KH E&T 상호변경(KH 건설)
21. 위니아딤채 상호변경(위니아)
22. 넥스트사이언스 상호변경(HLB글로벌)
23. 이즈미디어 추가상장(무상증자)
24. 고바이오랩 추가상장(유상증자)
25. 노을 추가상장(주식전환)
26. 두산중공업 추가상장(BW행사)
27.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추가상장(BW행사)
28. 시스웍 추가상장(BW행사)
29. 체리부로 추가상장(BW행사)
30. 오성첨단소재 추가상장(BW행사)
31. 지더블유바이텍 추가상장(CB전환/BW행사)
32. RF머트리얼즈 추가상장(CB전환)
33. 대유에이피 추가상장(CB전환)
34. 엔투텍 추가상장(CB전환)
35. 스튜디오산타클로스추가상장(CB전환)
36. 오르비텍 추가상장(CB전환)
37. 케이피엠테크 추가상장(CB전환)
38. 큐캐피탈 추가상장(CB전환)
39. 한국특강 추가상장(CB전환)
40. 오토앤 보호예수 해제
41.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42.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43. 美) 연준 베이지북 공개(현지시간)
44. 美) 알코아 실적발표(현지시간)
45. 美) P&G 실적발표(현지시간)
46. 유로존) 2월 무역수지(현지시간)
47. 독일)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48. 日) 2월 3차산업지수
49. 日) 3월 무역수지(예비치)
50. 오늘의 프로야구
- 2022.04.20
|
Read More
|
20
2022.04
|
-
4/20 해외증시 마감시황
- ★미국 마감★
다우(+1.45%)/나스닥(+2.15%)/S&P500(+1.61%)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194.03(-0.05%)
니케이 지수 26,985.09엔(+0.69%)
★국제유가★
102.50 +0.09(+0.09%)
★ 미국 및 해외시황 ★
기업 실적 기대감(+), 국채금리 급등(-),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이날 뉴욕증시는 美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이어갔지만,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큰 폭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45%, 1.61%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15% 급등.
본격적인 1분기 어닝 시즌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개장 전 실적을 발표한 시티즌스 파이낸셜 그룹은 매출과 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으며, 존슨앤드존슨 역시 분기 순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음. 손해보험사 트래블러스도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레피니티브 데이터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S&P 500 기업 중 거의 80%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것으로 전해짐. 다만, 이날 하스브로, 록히드마틴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발표.
상해종합지수는 3,192.09(-0.11%)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낙폭을 만회하며 상승전환 후 3,207.83(+0.39%)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상승폭을 반납하며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임. 오후 들어 낙폭을 확대한 지수는 오후 장중 3,174.71(-0.65%)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낙폭을 대부분 만회하며 3,194.03(-0.05%)에서 거래를 마감.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20일 중국 인민은행의 대출우대금리(LPR)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 속 하락 마감했음. 최근 중국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가운데, 시장에서는 인민은행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LPR을 내릴 것인지 주목하는 모습. 한편, 일각에서는 LPR 인하 시기가 무르익지 않은 데다가, 코로나19 불확실성이 크고 인플레이션 우려도 있어서 금리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음.
니케이지수는 27,096.49엔(+1.11%)에서 강세 출발. 장초반 27,100.59엔(+1.12%)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상승폭을 축소하며 26,777.71엔(-0.08%)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 이후 재차 상승폭을 축소하다 오후 들어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26,985.09엔(+0.69%)에서 거래를 마감.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상승 및 엔화가 약세를 보인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상승요인으로 작용.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에 하락했지만,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강세 마감. 이러한 가운데, 이날 아시아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달러화 강세에 128엔선을 돌파하며, 엔화 약세를 보였음. 일본 엔화 가치가 12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1971년(금본위제 폐지) 이후 50여년 만에 최장 기간 약세 행진을 이어갔음. 이에 시장에서는 반도체, 자동차 관련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
- 2022.04.20
|
Read More
|
19
2022.04
|
-
4/19 금일 HOT이슈 예상종목
- ● 엔씨·카겜 실적 고공행진… "해외서도 흥행질주"
-> 예상 수혜주 : 엔씨소프트 카카오게임즈 등
- 2022.04.19
|
Read More
|
19
2022.04
|
-
4/19 개장전 주요이슈점검
- ● 뉴욕증시, 4/18(현지시간)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등에 하락… 다우 -39.54(-0.11%) 34,411.69, 나스닥 -18.72(-0.14%) 13,332.36, S&P500 4,391.69(-0.02%), 필라델피아반도체 3,085.19(+1.88%)
● 국제유가($,배럴), 리비아 원유 생산 차질 소식 등에 상승… WTI +1.26(+1.18%) 108.21, 브렌트유 +1.46(+1.31%) 113.16
● 국제 금($,온스), 안전자산 선호심리 속 상승... Gold +11.50(+0.58%) 1,986.40
● 달러 index, Fed 공격적 긴축 우려 등에 상승... +0.48(+0.48%) 100.80
● 역외환율(원/달러), +1.70(+0.14%) 1,235.39
● 유럽증시, 영국(휴장), 독일(휴장), 프랑스(휴장)
● 미 4월 주택시장지수 77…심리 악화에 4개월째 하락
● 엘-에리언 "연준, 인플레 목표치 3%로 높여야 할 수도"
● 미 국채가 하락…10년물 금리 3년 만에 최고
● 달러화, 매파 연준 경계감에 강세…엔화, 구두 개입에도 약세
● 옥수수 선물 가격, 9년 만에 최고치 경신
● 미 천연가스 가격, 13년만에 최고
● IMF·WB 춘계회의 개막…파월·라가르드 회담은 21일 개최
● 세계은행, 전쟁에 세계 성장률 전망치 1% 가까이 낮춰
● IMF "민간 부채 증가, 글로벌 경기 회복세 둔화시켜"
● 미국2위 BofA, 분기순익 감소율 12%에 그쳐…이자순익은 14조원
● 잭 도시, 트위터 이사회 비판 트윗 올려
● TG태라퓨틱스 주가 급락…FDA에 제출한 신약 신청 철회
● 중국 승차 공유 '디디' 주가 급락…NYSE 상장 폐지·실적부진
● 뱅크오브뉴욕멜론, 영업수익 예상치 하회…주가 하락
● 비트코인, 매파 연준· 세금신고로 한 달 만에 최저…3만9천달러 붕괴
● 美, 인프라 건설에 미국산 철강·부품만 사용토록 권고
● 세계 4대 곡창지대 모두 망가졌다… 전세계 식탁 물가 비상
● 이란 "일부 해외 동결자금 해제 합의…미국과 상관없는 문제"
● 中 인민은행, 기업 금융 지원 조치 발표
● 오후 9시까지 11만5908명 확진…검사수 늘면서 어제의 2.5배
● 전국 대체로 맑음…낮 최고기온 25도
[기업/산업]
● 정유·전자 웃고, 디스플레이·배터리는 침울…1분기 희비교차
● 수출업계 "원자잿값 급등에 채산성 악화…무관세 등 대책 절실"
● 강판·후판가 인상조짐에 자동차·조선 '울상'…車가격 오를수도
● 적자 늪 한전…전기도 외상으로 산다
● "규제 풀어 혁신형 소형원자로 개발 속도내야"
● 대우조선 노사, 10개월만에 임단협 잠정합의…19일 찬반투표
● 마비된 中 IT부품 공장… D램 현물가격은 7주째 추락
●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 등 미국 출장···포스트 코로나 본격화
● 계륵같던 복지포인트…'페이' 만나 용 됐네
● 현대차도 '메타콩즈 NFT' 선보여
● 鐵·리튬값 폭등에 甲乙 없다…완성차-납품사 '비용 떠넘기기'
● 원자재값 상승에…SK온 예비 투자자 "몸값 산정 어쩌나"
● 현대차 美 배터리 파트너는 누구?… LG엔솔 vs SK온
● 현대차그룹, 올해말부터 모든 신차에 독자OS
● 쌍용차 인수전 '3파전' 압축
● '미디어 큰손' CJ가 뛰어들었다...요동치는 스포츠 중계권 시장
● Me코노미 시대…"남과 같으면 에·루·샤도 싫다"
● 배달비 6000원 챙겨놓고 고작 라이더에겐 3760원만
● 단건배달 투자에 '쩐의 전쟁'…배민·쿠팡 "적자폭 늘어 골치"
● 돈 몰리는 인도주식, 한국서도 살 수 있다
● 배에 들어가는 '후판', 풍력발전기에도 딱 맞네…철강업계 새 먹거리
[경제/증시/부동산]
● "잘 먹고 갑니다"…외국인 국내증시 비중 2009년 이후 최저
● 지지부진한 증시에 ELS 발행 52% '뚝'
● 숨은 가계빚 640조 '9월의 시한폭탄'
● "상환능력 제대로 평가해 시중銀 서민대출 늘려야"
● 기초연금 10만원 올리면 45조 더 들어
● "채권은 안전한 줄 알았더니"…마이너스 펀드에 개미 발동동
● 채권서 1000억대 손실난 곳도…금리 발작에 시장은 패닉
● "민노총서 탈퇴하겠다"…금감원 노조가 특단 조치 내린 이유는
● 입김 세진 글로벌 연기금…주총 안건 2개 중 1개는 반대했다
● 한은 연봉 1억…금감원과 비슷, 민간 금융사보단 낮아
● 둔촌주공만 문제 아니었네…공사비, 분양가 갈등에 서울 7천가구 분양 연기
● "다들 부러워했는데…이젠 연 9000만원 세금 낼 판" 눈물
● 도봉구 '창동 주공' 재건축 속도…2단지, 상아와 통합 사업 검토
● 인수위 '부동산 정책 발표' 정부 출범 뒤로 미룬다
● 주택연금 가입자, 독신녀가 독신남의 5배
● 12억 집은 月 193만원…"집값 떨어져도 계속 준다" 가입 러시
● 하계5단지 '서울형 고품질 임대 1호' 로 재건축
● 시세 14억 고덕강일 25평, 4억에 분양.."반값아파트 돌아왔다"
● 서울 신축도 안 팔린다‥미분양주택 2년 만에 '세자릿수'
● 대선 후 강남-서초 아파트 거래 절반 '신고가'
[정치/사회/국내 기타]
● 물가 쇼크에도…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현금성 3대 공약 강행
● 김오수 만난 文, 재신임…"검찰 공정성 의심, 자기개혁해야"
● 이번에는 전국평검사회의…오늘 150명 '검수완박' 대응 논의
● 법사위, 이틀째 법안소위 열고 '검수완박' 논의
● '사면초가' 정호영…尹측 "청문회서 검증해야" 선긋기
● 김동연·안민석·염태영·조정식…민주, 경기지사 '4파전'
● 김진태 구사일생…강원지사 경선 치른다
● 尹정부, 민간주도 일자리 지원기관 만든다
● 성 김 "北핵실험 강행시 안보리 강력 대응"
● 美 내달 12일 코로나 정상회의…尹-바이든 첫 화상 대면하나
● 총수 친족범위 줄인다…인수위, 대기업 규제 완화
● 정재계 인사 만난 윤석열 …"경제가 곧 안보"
● 인수위, 삼성 반도체 퇴직자 활용 검토...中 인력 유출 막는다
● 규제혁파 외쳤던 문재인 정부 '초라한 2%
● 규제 샌드박스? 규제 샌드위치!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공식 선언…"공동정부 초석"
● 노정희 선관위원장 결국 사의
● 안철수 "연금개혁 사회적 대통합기구 만들 것"
● 감사원 "文케어로 뇌 MRI 등 남발… 건보 재정 낭비"
● "여기도 꽉 찼네" 거리두기 해제 첫날 클럽 앞 줄서고 택시대란
● 손 못댄 관행, 코로나가 확 바꿨다
● 북적북적, 도란도란…점심 회식이 돌아왔다
● "그물로 80㎏ 건져올리면 새우 3㎏뿐…플라스틱 쓰레기 60㎏"
● 파업 허용범위 넓힌 ILO…재계, 노사분규 급증 우려
● 10년 끈 론스타 '5조 국가분쟁' 소송, 내달 결론날듯
● 서울시 'S-Map', '열린 디지털 실험공간' 신규 서비스 공개
[국제/해외]
● 中, 1분기 성장률 4.8%…시진핑, 이래도 3연임 가능할까
● 팬데믹 엎친 데 전쟁 덮쳐…개도국 41곳 디폴트 경고음
● 러 국방부 "우크라군 2만3천여 명 전사"…러군 손실은 공개안해
● 러 당국, 외화거래 제한 일부 완화…은행 외화 매도 환전 허용
● 일본·스위스 정상 "강력한 러시아 제재 지속 방침"
● "세계 경제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커졌다"
● 팔, 가자지구서 이스라엘로 로켓 발사…"아이언돔으로 요격"
- 2022.04.19
|
Read More
|
19
2022.04
|
-
4/19 금일증시 주요일정
- 1.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2. 홍남기 부총리, 인도 재무장관 면담 예정(현지시간)
3. 국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 인사청문회
4. 대통령직인수위, 광주 붕괴사고 현장 방문
5. 사단법인 감사위원회포럼, 정기포럼 온라인 웨비나 개최 예정
6. 대우조선해양 노조, 잠정합의안 찬반 투표 진행 예정
7. 제일제강 상호변경(제이스코홀딩스)
8. 이더블유케이 상호변경(케일럼)
9. 인피니티엔티 상호변경(디모아)
10. 포바이포 공모청약
11. 신영스팩7호 공모청약
12. 신한스팩9호 공모청약
13. 상상인스팩3호 공모청약
14. DI동일 변경상장(주식분할)
15. 에스엠벡셀 신주상장(회사합병)
16. 라온테크 권리락(무상증자)
17. 아이오케이 추가상장(CB전환)
18. 카카오게임즈 추가상장(CB전환)
19. 웰바이오텍 추가상장(CB전환)
20. 광림 추가상장(CB전환)
21. 에이스테크 추가상장(CB전환)
22. 클리오 추가상장(CB전환)
23. 뉴보텍 추가상장(CB전환)
24. 씨티씨-바이오 보호예수 해제
25. 美) 3월 주택착공, 건축허가(현지시간)
26. 美) 넷플릭스 실적발표(현지시간)
27. 美) 존슨앤존슨 실적발표(현지시간)
28. 美) 트래블러스 컴퍼니 실적발표(현지시간)
29. 美) IBM 실적발표(현지시간)
30. 日) 2월 산업생산(수정치)
31. 오늘의 프로야구
- 2022.04.19
|
Read More
|
19
2022.04
|
-
4/19 해외증시 마감시황
- ★미국 마감★
다우(-0.11%)/나스닥(-0.14%)/S&P500(-0.02%)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195.52(-0.49%)
니케이 지수 26,799.71엔(-1.08%)
★국제유가★
106.91 -0.07(-0.07%)
★ 미국 및 해외시황 ★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금융주 강세(+)
이날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에 대한 우려가 지속된 가운데, 美 국채금리가 급등하며 3대 지수 모두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11%, 0.02%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14% 하락.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보인 점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지난주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0년여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Fed의 공격적 긴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모습. 시장에서는 Fed가 5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르면 5월부터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양적긴축(QT)도 발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Fed가 5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은 88.8%를 기록. 이에 美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이어갔음. 특히, 10년물 국채금리가 장중 한때 2.88%선을 넘어서며 2018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Fed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장중 한때 2.5%선을 넘어서며 2019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함.
상해종합지수는 3,185.94(-0.79%)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확대하며 3,166.98(-1.38%)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낙폭을 만회하며 오전 장중 3,204.03(-0.22%)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재차 낙폭을 확대한 뒤 3,19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3,195.52(-0.49%)에서 거래를 마감.
中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점이 중국 상해종합지수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언론에 따르면, 中 시안시가 지난 16일 0시부터 19일 24시까지 한시적인 사회적 관리·통제에 들어갔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는 지린성 창춘시와 산둥성 웨이하이시·더저우시, 광둥성 선전시, 상하이 등에 이은 추가 봉쇄 조치로 봉쇄 기간 사실상 이동은 제한됨. 이에 시장에서는 주요 도시 봉쇄령에 따라 해당 도시의 소비, 생산 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어 경기 둔화에 대해 우려하는 모습.
금일 발표된 중국의 1분기 GDP는 27조178억위안(약 5,223조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8% 증가. 이는 시장 예상치 4.4%를 상회하는 수준이나 중국 정부의 목표치인 5.5%에는 미달. 3월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5.0% 증가해 시장의 예상에 부합했지만, 소매판매는 3.5% 감소해 예상치(1.6% 감소)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음.
니케이지수는 26,831.45엔(-0.97%)에서 하락 출발. 장초반 26,851.80엔(-0.89%)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오전 장중 낙폭을 확대하며 26,571.38엔(-1.93%)에서 저점을 형성. 오후 들어 낙폭을 만회한 지수는 26,799.71엔(-1.08%)에서 거래를 마감.
中 경제 성장 불확실성이 부각된 점이 일본 니케이지수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 이날 중국 국가통계국은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전년동기대비 4.8%로 집계됐다고 발표. 이는 지난해 4분기 4.0%보다는 0.8%포인트 높지만, 중국이 지난달 양회때 제시한 올해 목표인 '5.5% 안팎'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 1분기 성장률이 시장 전망치보다는 양호한 수준이지만 상하이 등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충격은 2분기부터 본격 반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시장에서는 중국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 등 경기부양책을 내놨지만, 중국 경제성장 둔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부각. 다만, 中 1분기 GDP 발표 이후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며, 낙폭을 만회하는 모습.
- 2022.04.19
|
Read More
|
18
2022.04
|
-
4/18 금일 HOT이슈 예상종목
- ● CJ대한통운, 삼성 금융사와 7천400억 부동산펀드 조성…이커머스 거점 구축
-> 예샅 수혜주 : CJ대한통운
- 2022.04.18
|
Read More
|
18
2022.04
|
-
4/18 개장전 주요이슈점검
- ● 뉴욕증시, 4/15(현지시간) 성 금요일(Good Friday)로 휴장
● 국제유가($,배럴), 성 금요일(Good Friday)로 휴장
● 국제금($,온스), 성 금요일(Good Friday)로 휴장
● 유럽증시, 영국(휴장), 독일(휴장), 프랑스(휴장)
● '정국 혼란' 리비아 석유시설에 시위대 난입…원유 생산 차질
● EU 수장 "무기 신속 지급만이 우크라 살아남을 방법"…러 스베르방크 제재·석유 금수 검토
● "마리우폴 우크라군, 항복 제안 거부하고 계속 저항"
● 美법원 "머스크 '테슬라 상장 폐지할 자금 확보' 트윗은 거짓말"
● 프랑스 대선 1주 전 르펜 EU 예산전용 의혹 불거져…변수될까
● OECD 물가상승률 걸프전 이후 최고…2월 물가 7.7% 급등
● 키이우에서 러시아 지운다…"러 관련 랜드마크 개명작업 중"
● 젤렌스키 "돈바스 포기 못 해…전쟁 전체에 영향줄 것"
● 中, 지준율 0.25%p인하···102조원 공급 효과
● 성김 대북특별대표 오늘 방한…北ICBM 등 한반도 문제 논의
● 현대硏 "경제성장률 전망 2.6%로 하향…물가는 3.9% 예상"
● 이창용 "고물가 상당기간 지속…통화완화 조정으로 물가안정 도모해야"
● 한은 "기대인플레도 상승세…통화정책 선제적 운용 바람직"
● 오후 9시까지 전국서 4만6783명 확진…어제의 절반수준 급감
● 낮 포근하지만 일교차 커…미세먼지 '나쁨'
[기업/산업]
● 코로나 엔데믹 시대, 반도체 호황 끝?… D램 전망 시계제로
● 삼성 '반도체 아성' 흔들…경영·투자 정상화 시급
● '전기차 핵심' 양극재 가격 25% 인상…테슬라 얼마나 더 오를까
● 올해 1분기도 '양극화'…대형항공사는 흑자·LCC는 적자
● 중국 셧다운에…공정위, 한∼중·일 해상운임 담합 심의 늦춘다
● 원자재 대란에… 공정위 '납품단가 연동제' 검토 착수
● 상하이 부품이 안온다 '퍼펙트 스톰' 공포
● 中 봉쇄 장기화 비상…"배터리 수입 80% 의존하는데"
● "지금도 10년 타야 본전 뽑는데…전기차값 더 오르면 어떡하나"
● 대한상의 "5조 넘는 글로벌 메가 M&A 증가…한국은 2016년 이후 고작 1건"
● 2021년 신탁사 수탁고 1천167조원…전년 比 12.3%↑
● 비대면 진료 '빗장' 풀린다
● 돈냄새 맡은 美 빅테크, 디지털헬스케어 참전
● 인재 쟁탈전…연봉 인상 '도미노'
● 백내장수술 절판영업에 실손보험금 급증…당국, 특별포상금 확대
● 평일 저녁 샤넬 매장에 '퇴근런'…보복 소비 터졌다
● 거리두기 해제에 인플레 방어까지…유통株 볕드나
● CJ대한통운, 삼성 금융사와 7천400억 부동산펀드 조성…이커머스 거점 구축
● CU 숙취해소음료 매출 48% 증가
● "나이키 운동화 필요 없어요. 대신에…" 40대 아빠 '황당'
● "그 연봉 줬다간 직원 다 뺏긴다"…삼성전자도 '특단의 대책'
● 美 IT업계 평균연봉 1.3억원…임금협상도 수시로
● 메타 "스마트폰 연결 필요없는, 100g AR안경 2년내 출시"
● 은행서 펀드 안든다…가입자 80% 급감
● 이러니 인재들 몰리지…토스 능력주의에 30대 '별' 속출
● "돈은 나중에 낼게요"…토스 가세한 '후불결제', 카드사 위협할까
● CJ ENM, 스포츠 채널 'tvN SPORTS' 만든다
● 적자 늪에 빠진 토종 OTT, 그래도 "닥치고 투자"
● 산은, ESG 투자 가속화…재활용업체 100억대 인수
● 도화엔지니어링 "안데스산맥 속 페루 신공항도 맡았죠"
● 바스프·벤츠 등 외국계기업 1조 '배당 잔치'
● 조원태 회장 '우군' 네이버…한진칼 지분 1%까지 늘렸다
● 삼성-LG 가격 인하 '프리미엄 TV' 확전
● 시멘트 가격마저… 15.2% 오른다
● 현대건설, 서울역 인근에 UAM 이·착륙장 만든다
● 너도나도 RV…1분기 팔린 車 절반 차지
● 태양광 모듈 가격, 6개월 새 30% 껑충
[경제/증시/부동산]
● 이창용 "금리인상 빅스텝 필요성 낮다"
● "시장 흔드는 손…美 연준 빅스텝 아닌 우크라와 中"
● 韓, 올해 성장률 2%대 추락 현실화되나…IMF, 경제전망 하향 예고
● 뉴욕증시…넷플릭스·테슬라 실적, 파월 연설 '주목'
● 상하이증시, 中 1분기 GDP 발표…시장 "4.5% 성장"
● 금감원 노조도 민주노총 탈퇴…"독립성 확보 차원"
● 경총 "지난해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 321.5만명…역대 두 번째"
● 횡보장에 지쳐…年 4% '코코본드' 인기
● 작년 295조 퇴직연금 수익률 상품 따라 격차…금융투자업권 비중↑
● 퇴직연금 1% 수익낼때 똑똑한 개미는 7% 챙겨…이러니 작년 12조 몰렸지
● 덩치 키우는 DC·IRP…디폴트옵션 날개달고 연금백만장자 나올까
● 美 로빈후드 이용자들, 비트코인 가장 많이 샀다
● 文정부 최저임금 과속에…한국 최저시급 '구인난' 도쿄까지 추월
● 세계 인구절벽 논쟁…韓 주가·집값, 어떻게 될까
● "영끌족 어떡해"…주담대 금리 7%? 오늘부터 더 오른다
● "이러다 다 죽어"…'둔촌주공 재건축' 초유의 파행
● 전용 60㎡ 이하 청약 신설…"2030 내집마련 기회 온다"
● 종로 세운지구에 429가구 청약
● "상속은 다주택아냐"…종부세 대수술 예고한 추경호法 살펴보니
● 5월 양도세 완화? "서울 남기고 지방만 판다"..강남1주택이 '승자'
● 2억대 '尹 청년주택'…용산정비창·서울의료원에 짓는다
[정치/사회/국내 기타]
● 대통령실 8수석서 민정·일자리 사라진다
● 버티는 정호영…기자회견 열고 '자녀 편입학 의혹' 정면반박
● 정호영 딸 '父지인' 만점 논란…아들 논문 '짜깁기' 의혹 제기
● 정호영, 딸 이어 아들에도 논문 공저 교수가 최고점
● 尹 "부정 팩트 확실히 있어야"…민주당 "친구 구하려다 민심 잃어"
● 국민의힘-국민의당, 이르면 18일 합당
● 송영길, 서울시장 출마 공식 선언
● 尹 "세월호 진심 어린 추모는 대한민국 안전하게 만드는 것"
● 尹당선인, 24일 日에 정책협의단…"한일현안, 대북공조 논의"
● 김오수 검찰 총장 사표…한동훈 "충정 이해"
● 오늘부터 인원·시간 제한 해제…실내·외 마스크 착용 유지
● 軍도 방역지침 완화…면회 인원제한 폐지
● 어지럼증 인후통 여전한데…일상 재개 불안한 코로나 후유증 환자들
● "크루즈도 뜨고 불꽃놀이도 즐기고"…3년만에 지역축제 기지개
● 김용진 국민연금 이사장, 임기 16개월 남기고 조기 사퇴
● 김정일, 16일 탄도미사일 발사…18일 한미연합훈련 주목
● 강제노역 자산 매각명령 불복…日 미쓰비시, 대법원 재항고
● "재택 1주일간 배달용기 98개 버렸다"…코로나에 폐플라스틱 2배 늘어
● 2030년까지 학생 138만명 주는데…교육교부금은 60조→89조로 급증
● '사무실의 귀환'…그래도 대세는 '하이브리드·주 4일제'
● 공정위, 영국식 모델 본따 M&A 심사제도 바꾼다
● CPTPP 가입 추진…한·미 FTA 때처럼 농어민 반발 거셀듯
[국제/해외]
● 우크라이나 요충지 마리우폴 함락 초읽기
● "테슬라 상장폐지" 입방정에…머스크, 14조원 소송 패소위기
● 루블화 전쟁 이전 수준 회복했다…이유 살펴보니
●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에 마이클 바 전 재무차관보
● 러, 우주인터넷 '스타링크' 파괴 명령?… 과연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 폭스콘 공장 있는 中 정저우도 코로나 일부 봉쇄
● 중국 1분기 GDP 4.4% 전망…연간 '5.5%' 달성 빨간불
● 중국 동방항공, 추락 여객기 기종 보잉 737-800 운항 재개
- 2022.04.18
|
Read More
|
18
2022.04
|
-
4/18 금일증시 주요일정
- 1. 홍남기 부총리, IMF 총재 면담 예정(현지시간)
2. 프랑스, 독일, 영국, 홍콩 증시 휴장
3.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 예정
5.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2차안 발표 예정
6. IMF-WB 춘계 연례회의(현지시간)
7. IMF 세계경제전망 보고서(현지시간)
8. 홍남기 부총리, 美 출장 예정
9. 성 김 대북특별대표, 방한 예정
10. 한미 연합 훈련 예정
11. 국고채 10년물 입찰 예정
12. 보령제약 상호변경(보령)
13. EMW 상호변경(케스피온)
14. COWON 상호변경(코원플레이)
15. 인터파크 상호변경(그래디언트)
16. 수성이노베이션 상호변경(EV수성)
17. 우리들휴브레인 상호변경(초록뱀헬스케어)
18. 신영스팩7호 공모청약
19. 신한스팩9호 공모청약
20. 신영와코루 변경상장(주식분할)
21. 맥스트 권리락(무상증자)
22. 코이즈 권리락(유상증자)
23. 루트로닉 추가상장(주식전환)
24. 텔콘RF제약 추가상장(CB전환)
25. SGA솔루션즈 추가상장(CB전환)
26. 초록뱀헬스케어 추가상장(CB전환)
27. 우리넷 추가상장(CB전환)
28. EV수성 추가상장(CB전환)
29. 엔에스엔 추가상장(CB전환)
30. 에이프로젠 MED 추가상장(CB전환)
31. 지코 보호예수 해제
32. 유일로보틱스 보호예수 해제
33. 美) 4월 NAHB 주택시장지수(현지시간)
34. 美)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실적발표(현지시간)
35. 中) 1분기 GDP
36. 中) 3월 소매판매
37. 中) 3월 산업생산
38. 中) 3월 고정자산투자
39. 中) 3월 실업률
- 2022.04.18
|
Read More
|
18
2022.04
|
-
4/18 해외시장 마감시황
- ★미국 마감★
미국 휴장
★아시아 마감★
중국상해종합 지수 3,211.25(-0.45%)
니케이 지수 27,093.19엔(-0.29%)
★국제유가★
107.27 +0.76(+0.71%)
★ 미국 및 해외시황 ★
미국 휴장
상해종합지수는 3,210.70(-0.46%)으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3,200선 부근까지 낙폭을 키웠던 지수는 낙폭을 축소해 3,225선을 상회하기도 했으나 재차 낙폭을 키웠음. 오후장 초반 3,200.13(-0.79%)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이내 낙폭을 축소했고 상승전환에 성공하며 3,229.87(+0.13%)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재차 하락전환한 지수는 낙폭을 키운 끝에 3,211.25(-0.45%)에서 거래를 마감.
당국의 금융 정책에 대한 실망 매물 출회 등이 이날 중국증시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시장의 예상과는 달리 中 인민은행이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2.85%로 동결하면서 금융 정책에 대한 실망감이 부각되는 모습. 지난 13일 中 국무원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타격을 완화하기 위해 지준율 등 통화정책 도구를 운용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시장에서는 이날 MLF 금리를 인하하면서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 인하를 유도할 것으로 전망했음. 한편, 인민은행은 금융기관의 대출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MLF 금리를 조절하여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고 있는 LPR를 조절할 수 있음.
니케이지수는 26,932.48엔(-0.88%)에서 하락 출발. 장초반 26,784.92엔(-1.42%)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낙폭을 만회하며 27,203.77엔(+0.12%)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낙폭을 재차 만회하며 27,093.19엔(-0.29%)에서 거래를 마감.
Fed 긴축 우려 속 기술주 중심 매도세가 일본 니케이지수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 지난밤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에 대한 우려가 지속된 가운데, 美 국채금리가 급등하며 3대 지수 모두 하락.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각각 2.14%, 2.92% 급락. 이와 관련,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뉴욕 연은) 총재는 "5월 50bp 금리 인상은 매우 합리적인 옵션"이라며 "가장 중점을 두는 일은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것"이라고 밝힘. 이어 "인플레 급등세가 고점에 도달했는지는 불확실하다"라며 "중립 금리 이상으로 가야할 수 있다"고 언급. 이에 시장에서는 반도체 등 고PER 위주의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도세가 출회.
- 2022.04.18
|
Read More
|